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환경부, 부산 플라스틱 자원순환 클러스터로 재활용 혁신기술 육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뉴스핌] 양가희 기자 =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플라스틱 생산량 자체를 줄이는 방법과 함께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력 확보가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부산 강서구 구랑동 국제산업물류도시 9공구에 플라스틱 재활용 연구개발 기술혁신을 위한 국내 유일 '포스트 플라스틱 자원순환 클러스터'를 구축, 현재 영세업체가 흩어져 있는 재활용 산업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바꾼다는 구상이다.

27일 환경부에 따르면 부산의 '포스트 플라스틱 자원순환 클러스터' 부지면적은 2만6400㎡로, 진흥센터동·물질재활용동 2개동과 자유설계구역·화학적 재활용 실증부지 2곳으로 구성된다.

클러스터는 업체 1곳당 1000제곱미터를 사용하면 17개 업체가 입주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운영기관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환경부는 포스트 플라스틱 자원순환 클러스터라는 실증화 시설을 통해 녹색·벤처기업의 실증데이터를 확보하고, 재활용 제품 품질 검증을 지원한다.

녹색기술 개발 및 유망기업 육성으로 신시장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관련 산업 육성기반도 마련한다. 클러스터 인근에 위치한 부산의 생곡 재활용단지 등 지역산업과 연계해 자원순환 산업 생태계도 조성한다.

뉴스핌

[부산=뉴스핌] 양가희 기자 = 고일원 한국자원경제연구소 연구소장이 26일 부산 포스트 플라스틱 자원순환 클러스터 부지 앞에서 클러스터 설립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2024.11.26 sheep@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환경부 관계자는 "아직 설계 단계라서 (입주 기업) 수요조사를 하고 있다"며 "한화기계와 부산시가 2021년 자원순환 클러스터 활용 방안 모색, 기술 연구개발 실증 및 사업화 투자 등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플라스틱 클러스터 설립 배경에는 전 세계적으로 대두된 플라스틱 전(全)주기 관리 필요성이 영향을 미쳤다. 2022년 유엔환경총회는 생산부터 처리까지 단계별로 플라스틱을 관리해 플라스틱 오염을 줄여야 한다는 일명 '플라스틱 협약'이 필요하다고 합의했다. 이에 마지막 5차 회의가 부산에서 전날(25일) 열려 내달 1일까지 진행된다.

최근 국내 폐플라스틱 양이 증가하면서 경제계 내에서 자원순환도 강조되고 있다. 환경부가 지난해 발간한 '2022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가정에서 배출한 폐합성수지류(플라스틱류) 폐기물은 혼합·분리배출을 합쳐 2018년 234만톤에서 2022년 330만톤으로 매년 증가했다. 사업장 폐합성수지류 폐기물도 같은 기간 89만톤에서 206만톤으로 늘었다.

뉴스핌

[부산=뉴스핌] 양가희 기자 = 26일 찾은 부산 포스트 플라스틱 자원순환 클러스터 부지의 모습 2024.11.26 sheep@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페트병을 만들 때 재활용 원료를 30% 이상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을 마련했다. 한국도 현행 3%인 규정을 유럽연합과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장기 계획을 갖고 있다.

플라스틱 재활용에 대한 공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수요도 늘어날 전망이지만 재활용 산업은 전반적으로 영세한 업체가 흩어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효율와와 집적화를 추구하고 연구개발 및 실증화를 촉진해 환경산업 육성 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이 환경부 목표다.

다만 당초 463억원이었던 총사업비가 568억원으로 늘어나면서 재정당국이 올해 2월 타당성 재조사에 돌입했다. 타당성 재조사는 내년 상반기경 완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부는 코로나19 기간을 거치면서 공사비가 급격하게 늘어났다는 입장이다. 공사기간도 초기 구상대로라면 올해 끝났어야 하지만 4년 연장됐다. 사업은 사업부지 매입과 중간설계가 지난해까지 완료됐고, 현재 타당성 재조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단계다.

환경부 관계자는 "증액된 105억원 중 86억원이 건설비 상승에 따른 것"이라며 "나머지는 공사비 증가에 따른 시설부대비 감리비 등"이라고 설명했다.

플라스틱 자원순환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부산은 '플라스틱 도시' 지위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부산에서는 플라스틱 협약 5차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날 박형준 부산 시장은 잉거 안데르센 사무총장을 만나 클러스터 조성 계획 등을 공유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도 전날(25일) 플라스틱 협약 관련 출입기자 간담회를 통해 만약 플라스틱 협약이 이번 회의에서 성안될 경우 협약 후속 대응을 위한 전문가 부속 기구를 부산에 설치하는 방안을 국제사회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뉴스핌

[자료=환경부] 2024.11.26 sheep@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heep@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