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최근 한국에서도 라임병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라임병은 주로 진드기를 통해 전염되는 감염성 질환으로, 미국에서는 매년 3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가수 저스틴 비버, 배우 알렉 볼드윈 등 해외 유명 연예인들도 이 질환으로 고생하고 있어 미국 내에서는 이미 사회적 관심과 경각심이 높다. 이에 대해 좋은균 연구소 김석진 소장이 살펴봤다.
한국 내 라임병 환자 중 72.4%는 국내에서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5년 전의 56.4%에 비해 16% 증가한 수치다. 라임병 증가 원인은 기후 변화로 인한 환경 변화로 분석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한국도 더 이상 라임병으로부터 안전하지 않은 지역이 되고 있다는 것.
라임병은 1970년대 미국 코네티컷 주의 라임(Lyme)이라는 도시에서 처음 발병해 이름이 붙여졌다. 주로 진드기가 인간의 피부를 물어 보렐리아 부르그도르페리(Borrelia Burgdorferi)라는 박테리아를 전염시켜 발생한다. 이 박테리아는 매독을 유발하는 균과 같은 계열로, 면역 체계를 피하고 교란시키는 특징이 있다.
라임병은 에이즈(AIDS)와 달리 초기에 진단되면 항생제로 치료가 가능하다. 진드기에 물린 후 피부에 붉은 반점이 생기는 것이 특징적이나, 환자의 약 3분의 1 가량은 이러한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초기 진단이 어렵다. 진드기에 물린 후 3일에서 한 달 내에 독감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피부 증상이 없는 경우 진드기에 물렸다는 사실을 인지하기조차 어렵다.
라임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외 활동 시 진드기 노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잔디밭이나 숲 속에 들어갈 때 긴 옷을 입고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외출 후에는 진드기에 물린 자국이 있는지 확인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Copyright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