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은 과제로 문턱 돌파 기능이 거론된다.
로보락이 11월 출시한 큐레보 커브(Qrevo Curv)를 3주간 써보니 문턱을 넘나드는 기능도 한층 진화된 제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에 있는 책상 하단에 설치한 로보락 큐레보 커브. 크기가 컴팩트해 공간 차지를 많이 하지 않았다. (사진=김신영 기자) |
현관과 방 안을 구분해주는 중문에 있는 약 0.5㎝ 문턱을 맞닥뜨리자 넘어가 청소를 이어갔다. 큐레보 커브는 최대 4㎝ 문턱까지 넘을 수 있다. 특히 문턱을 완전히 넘기 전에 문턱 자체를 지나다니며 청소하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덕분에 문턱 틈새 사이사이에 박혀있는 먼지도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신발을 벗는 현관으로 제품이 떨어지지는 않았다. 3~4번 해당 구역을 맞닥뜨리자, 로보락 애플리케이션(앱)에서 해당 구역을 '낙하 금지 영역'으로 자동 설정했다. 구역 설정 이전에도 제품이 떨어지지 않았지만, 앱에서 다시 한번 진입을 막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접이식 테이블 기둥 등 장애물이 있거나 울퉁불퉁한 곳을 지나갈때는 '듀얼 로봇 플랙시암'을 활용해 깔끔하게 청소했다. 로봇청소기의 원형 본체 모양 밖에 있는 부분도 브러쉬가 돌출되자 청소가 가능했다.
로보락 큐레보 커브가 문턱을 넘고있는 모습. (사진=김신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물통은 1회 보충 시 최대 97평을 청소할 수 있어 원룸(6평)에서 사용하자 약 15번정도 청소가 가능했다. 오수통이 꽉 찼을 때는 앱에서 '정수통을 확인하세요'라는 알림 문구가 떠 교체 시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제품은 불을 모두 끈 어두운 상황에서도 보조광을 사용해 청소가 가능하다. RGB 카메라와 구조광 센서가 최대 622개 물체를 인식해 사물을 감지한 뒤 회피한다.
최대 75도로 물걸레 온수 세척을 해 줘 다음번에 제품을 쓸 때 얼룩이나 오염이 남아있지 않았다.
제품을 사용한 뒤에도 제품에 이상이 없는 지 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했다. 필터, 메인 브러시, 사이드 브러시, 센서, 세척 트레이 등이 이상없는지 알 수 있다.
신제품은 외관이 동글동글해 기존에 각진 형태의 로봇청소기와 차별화됐다. 집 안에 좀 더 부드럽고 따뜻한 이미지의 가전을 비치하고 싶다면 큐레보 커브가 적합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건더미, 쓰레기봉투 등 바닥에 차지하고 있는 면적이 넓은 물건의 경우 잘 피해 청소를 했지만, 빨래건조대 등 면적이 좁은 물건의 경우 부딪히거나 밀며 청소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면적이 좁은 물건도 원활히 인식해 피하는 기능이 보완되면 좋겠다.
일부 물건에 부딪힌 점을 제외하고는 사용 중 불편한 점이 없었다.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일상에서 '청소'를 잊고 살 수 있을 정도로 더 이상 사람의 손을 거쳐야 하는 부분이 많지 않다고 느꼈다.
큐레보 커브는 일반형과 직배수 스테이션형으로 나뉜다. 기자는 일반형 제품을 썼지만, 직배수형을 쓰면 물 공급과 배수까지 자동으로 돼 더 편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로보락 애플리케이션에서 낙하 위험이 여러 번 감지된 구역을 '낙하 금지 영역'으로 지정했다. (사진=김신영 기자) |
김신영 기자 spicyzero@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