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체포동의안 전후 지지율 변화 '미미'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재판 이슈도 있지만, 저희는 민생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의 1심 중형 선고를 계기로 강경한 대야 공세를 요구하는 당내 주장에 선을 그은 것이다. 야당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부각시키는 것만으론 당정의 지지율을 반전시킬 수 없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반사이익에 기대거나 오버하지 않겠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한 대표는 "골든타임을 놓치면 안 된다고 말해왔는데, 지금은 민주당에도 국민의힘에도 중요한 시험의 시간"이라며 "민심에 맞게 변화와 쇄신을 실천하겠다"고 덧붙였다.
그 일환으로 재정준칙을 거론했다. 한 대표는 "나랏돈을 안 쓰겠다는 게 아니라, 제대로 잘 쓰자는 것이 재정준칙 법제화의 진짜 의미"라고 주장했다. 이어 중소기업중앙회를 찾아 간담회를 갖고 기업 격차와 노동 격차 해소, 민생회복 과제를 논의했다. 19일엔 한국노총을 방문해 정년 연장을 비롯한 각종 노동 현안을 다룰 예정이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이미 '이재명 즉각 사퇴 촉구 위원회', '이재명 관련 의문사 진상규명위원회' 등 격한 주장들이 난무하고 있다. 이재명 특검까지 거론하는 상황이다. 그대로 방치했다가는 1심 판결에 반발해 독이 잔뜩 오른 민주당의 페이스에 말릴 수 있다. 친한동훈(친한)계 인사는 "그런 방식으론 중도층의 마음을 살 수 없다"며 "이럴 때일수록 민생을 보듬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사법리스크 부각 '안간힘'… 여론 영향은 '미미'
이 같은 차분한 대응 기조는 과거 경험에 따른 것이다.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불거질 때마다 이슈를 키우는 방식으로 대응해왔지만 별다른 반사이익을 보지 못했다. 지난해 2월과 9월 이 대표 체포동의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각각 부결·가결됐을 때가 대표적이다. 당시 법무부 장관이던 한 대표가 이례적으로 장황하게 체포동의안 이유를 설명하고 여당이 당력을 결집해 공세를 폈지만, 여야 지지율은 눈에 띄는 변화가 없었다. 여당 입장에서는 허송세월한 셈이다.
리얼미터에 따르면, 지난해 2월 27일 이 대표 1차 체포동의안이 국회에서 부결되기 직전(이하 미디어트리뷴의뢰·2월 13~17일 ARS조사·20일 공표) 국민의힘 지지율은 42.2%였다. 부결 직후 국민의힘은 지도부가 앞장서 '이재명 방탄' 프레임으로 민주당을 공격했지만 반향은 적었다. 직후 지지율은 44.3%(2월 27~3월 3일 ARS조사·6일 공표)로 2.1%포인트 올랐다가 그 다음 주(3월 6~10일 ARS조사·13일 공표)엔 41.5%로 체포동의안 표결 전보다 오히려 떨어졌다. 민주당 또한 같은 기간 43.9%→40.7%→42.6%로 지지율이 횡보했다.
파장이 더 컸던 지난해 9월 21일 2차 체포동의안 가결 전후도 마찬가지다. 가결 직전(이하 에너지경제 의뢰·9월 11~15일 ARS조사·18일 공표) 국민의힘 지지율은 35.3%였는데, 가결 직후(9월 18~22일 ARS조사·25일 공표)엔 37.5%로 소폭 올랐다. 같은 기간 민주당은 46.0%에서 46.1%로 큰 차이가 없었다. 같은 달 27일 법원에서 구속영장이 기각됐지만, 후폭풍도 없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36.2%(9월 25~27일 ARS조사·28일 공표)로 소폭 하락한 뒤 그 다음 주 36.3%(10월 4~6일 ARS조사·9일 공표)로 거의 같았고, 민주당도 47.6%→47.8%로 사실상 변화가 없었다.
물론 이번 공직선거법 1심 선고는 향후 이 대표의 대선 출마를 봉쇄할 수도 있는 강력한 판결인 만큼 정치적 파장 면에서 과거 사례와 단순 비교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다만 이날 발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14~15일 ARS 조사·18일 공표)에선 이 대표 실형 선고 이후 민주당 지지율이 외려 상승(43.7%→47.5%)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30.7%에서 31.6%로 소폭 올랐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와 관련, 각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지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도형 기자 namu@hankookilbo.com
김소희 기자 kimsh@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