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 발표
음용률, 국제 기준 없어 일부 차이
해외 기준으론 음용률 70% 이상
14일 서울시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월 13일부터 19일까지 만 18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울시민 먹는 물 소비패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아리수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응답은 77%로 나타났다. 사용 목적별로 '음용하거나 음식을 조리할 때' 만족한다는 응답이 87%, 음용 목적 외 생활용수로써 만족한다는 응답은 94%에 달했다.
서울시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특히 서울시민들은 수돗물을 식수뿐 아니라 차·커피를 마시거나 음식을 조리할 때도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커피를 마실 때 59.7%, 밥·음식을 조리할 때 63.2%가 수돗물을 이용한다고 응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다만 '수돗물 음용률'에 대해 국제적으로 규정된 기준이 없어 나라마다 다른 기준을 적용해 비교하는 게 한계가 있다는 점은 이번 조사에서 드러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도법'에 근거해 환경부 주관으로 3년마다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수돗물 음용률을 '집에서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먹는 비율'로 정하고 있다. 2021년 실시한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에 따르면 서울시 수돗물 음용률은 36.5%였으며, 이번 '서울시민 먹는 물 소비패턴 조사'에서 수돗물 음용률은 49.6%로 나타났다.
두 조사는 질문은 같았지만, 조사 대상과 방법은 차이가 있었다. 환경부는 가구 내 가구주 또는 배우자를 대상으로 방문 면접 조사를 통해 진행한 반면 서울시는 개인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조사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미국과 프랑스 파리의 수돗물 음용률 기준을 적용하면 72.4%(미국 지표)와 80.2%(프랑스 파리 지표)로, 서울시민의 수돗물 음용률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9월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수돗물 먹는 비율 기준 정립을 위한 시민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다. 당시 토론회에서 서울시는 수돗물 음용률 기준 개선안 4가지를 제안했다. 기존 환경부 기준의 보완, 수돗물을 마시는 것에서 먹는 것(차·커피, 음식 조리 등)까지 범위 확장, 미국이나 파리시의 기준 활용을 제시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