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3 (수)

[뉴스 속 경제] "한국 조선업 도움 필요"‥트럼프 요청한 이유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앵커 ▶

월요일 뉴스 속 경제 시간입니다.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내년 1월에 시작되는데요.

우리 산업에 어떤 영향을 줄지, 이성일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취임, 1월에 하잖아요, 선거 끝나고 눈에 띈 것이, 트럼프 당선인이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에서 조선업을 콕 짚어서 협력 필요하다고 했었던 것이죠?

◀ 기자 ▶

"미국 조선업이 한국의 도움·협력을 필요로 한다"고 도널드 트럼프 당선자가 윤 대통령과 통화에서 한 얘기거든요.

통화 시점이 승리 선언한 직후 첫날이고, 주요국 정상들과 연이어 접촉하던 시간이죠.

긴 시간, 깊은 대화할 상황이 아닌데 대화 소재가 됐다는 것은, 그만큼 미국 새 정부의 관심사라는 뜻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반도체 전기차 같은 전략산업에 대한 미국 내 투자를 요청했던 조 바이든 정부와 다른 관점을 엿볼 수 있는 장면입니다.

◀ 앵커 ▶

관심이 있는 이유는 우선 우리 조선산업이 그만큼 경쟁력 있기 때문이겠죠?

◀ 기자 ▶

선박 주문·생산량 기준으로, 우리 조선사들이 전 세계 1~4위까지 모두 차지하고 있습니다.

20년 가까이 막대한 투자·국내 수주를 이어간 중국이 조선산업 종합경쟁력 1위로 올라섰지만, 기술력은 우리나라가 아직 1위입니다.

국가 단위로 봐도, 큰 시장· 정부 지원받는 다수의 조선소를 가진 중국이 생산량에서는 압도적이지만 우리는 여전히 세계 2위를 지키고 있습니다.

전 세계 조선시장에서는 다른 나라의 존재감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한국·중국·일본 3개 나라가 사실상 시장을 독점한 지 오래됐습니다.

반면 2차 대전 당시 한 해 1천 척을 만들었다는 미국 조선업은 조선소 5곳 정도가 한 해에 10척을 건조하는 수준으로 쪼그라들었습니다.

만들지 못하면, 수리라도 잘해야 할 텐데 조선소의 설비공간·기술·속도가 모두 시원치 않아 오래된 군함을 고쳐 쓰는 것마저 버거워하는 상황입니다.

◀ 앵커 ▶

조선업이라는 게 사실 해군 군사력에도 영향을 미치잖아요.

중국과 비교가 더 되겠어요, 발전을 하고 있으니까.

◀ 기자 ▶

성장하는 조선업은 곧 군사력으로 전환될 수 있는 힘이거든요.

중국 해군의 약진이 위협적인 이유입니다.

핵잠수함·항공모함의 존재감, 군함의 크기, 성능을 고려하면 미국 해군이 여전히 월등하지만, 중국 해군은 군함의 숫자 면에서는 이미 2021년 미국을 능가했습니다.

20년 전에는 절반 수준에 불과했던 숫자입니다.

소련과 냉전 종식 이후 해군 예산을 축소했던 미국과 달리, 시진핑 국가 주석이 집권한 2013년 이후 9년 동안에만 1백만 톤이 넘는 군함을 증강했기 때문입니다.

2022년에는 중국 스스로 설계·건조한 항공모함 푸지안을 처음으로 실전에 배치하기도 했습니다.

미국 해군이 6개 함대로 전 세계에 분산 배치된 점까지 감안하면, 미국 해군·조선업의 경쟁력이 중국 해군의 팽창을 견제하기 버겁다는 판단을 할 수밖에 없었을 것 같습니다.

◀ 앵커 ▶

우리나라와 협력할 만한 분야는 어떤 것일까요?

◀ 기자 ▶

당장은 시급한 군함 유지보수·수리 분야에서 협력을 요청할 것이 분명합니다.

미국 해군이 이럴 것을 보여준 심각한 사례가 있는데, 가장 성능이 뛰어난 핵잠수함이 코네티컷입니다, 2021년 남중국해에서 작전을 하다 파손이 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미국으로 돌아왔지만, 선박 건조대-도크가 없어 20개월을 기다렸다 간신히 수리에 들어갔는데, 수리 기간만 30개월 넘게 걸릴 예정입니다.

그 건조대에서 만들 예정이던 차세대 원자력잠수함 도입 시기는 그만큼 미뤄졌습니다.

기술 뛰어나고 작업 속도 빠른 조선소의 도움을 받는 것은 군함 몇 척을 더 가진 것만큼 군사 작전에서 이점을 주는 것입니다.

방산업계에서는 미국이 호주에 원자력잠수함 건조를 승인했던 것처럼, 건조 분야로까지 협력을 넓혀갈 기회가 될 것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 앵커 ▶

마지막으로 관세 이야기를 안 할 수 없습니다.

트럼프하면 관세 이야기가 따라오는 것 같은데, 전 세계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것 같아요?

◀ 기자 ▶

많은 나라가 대응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그런 예 중 하나가,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은, 선거 직후 트럼프 당선인에게,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를 유럽에 공급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공개한 것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미국 상대로 큰 무역 수지 흑자를 보는 EU가 미국산 LNG 수입해, 흑자 규모를 줄이려는 시도입니다.

유럽은 어차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안정적 에너지 공급원을 찾지 못해, 큰 고통을 겪고 있고 어디선가 수입을 해야 하는 상황이거든요.

자유무역협정을 맺은 우리가 유럽에 비해 상황이 나쁘지 않지만, 안심할 상황 아닙니다.

기업들과 협의체 구성에 나선 정부가 맞춤형 대응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습니다.

◀ 앵커 ▶

네, 이성일 기자 잘 들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이성일 기자(silee@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