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기계연, AI 반도체 성능 혁신 이끌다…플라즈마 기반 이종구조 4인치 웨이퍼 제작 기술 '최초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김형우 선임연구원(왼쪽)이 개발한 반도체 플라즈마 장비 앞에서 이종구조 샘플을 들어 보이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술 발전과 함께 반도체 성능 향상 필요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우리 연구진이 플라즈마 장비를 이용해 저전력 고성능 반도체를 제작할 수 있는 이종구조 4인치 제작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은 김형우 자율제조연구소 반도체장비연구센터 선임연구원팀이 김태성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팀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이종구조 4인치 반도체 웨이퍼 제작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이 기술은 차세대 반도체 재료인 2차원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TMDc)에 적용, AI 반도체로 사용 가능할 전망이다.

연구팀은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ECVD) 장비를 이용해 두 가지 형태 이종구조 4인치 웨이퍼 구현에 성공했다.

이황화텅스텐과 그래핀 간 이종구조는 그래핀을 전사한 웨이퍼 위에 텅스텐 금속층을 1나노미터(㎚) 두께로 증착해 황화수소 플라즈마 황화처리로 제작했다.

또 이황화몰리브덴의 서로 다른 2개 형상을 결합, '금속-반도체'의 이종구조로 박막형 제작에도 성공했다.

특히 사방정계 구조인 금속성 구조(1T)는 준안정화 상태로, 육각형 벌집 구조인 반도체성 구조(2H)보다 상대적으로 불안정해 그동안 대면적 반도체 웨이퍼 제작이 어려웠다. 연구팀 기술 개발로 1T의 4인치 웨이퍼 제작 및 1T-2H 이종구조 구현에 성공하게 됐다.

전자신문

왼쪽부터 김형우 기계연 자율제조연구소 반도체장비연구센터 선임연구원(공동교신), 김태성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공동교신), 석현호 성균관대 연구원(1저자).


기존 이종구조 제작 방법인 쌓는 형태의 '스태킹' 방식은 수백 마이크로미터(㎛) 작은 크기로만 가능했으며 재현성도 떨어졌다. 연구팀은 이런 한계를 플라즈마 합성 장비를 활용해 극복함으로써 4인치 대면적 이종구조 웨이퍼를 구현하는 성과를 냈다.

이 기술로 3D 통합구조를 구현하면 전력손실은 크게 감소하고 열 방출량은 적어져, 성능과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진다. AI 반도체 필수 특징인 저전력·고성능을 갖췄다.

김형우 선임연구원은 “개발 기술은 기존에 학술적으로만 접근했던 이종구조 연구에서 웨이퍼 크기와 재현성을 충족함으로써 실험적 규명이 가능했다”며 “대량생산 가능성이 높아 향후 AI 반도체 성능 향상 및 산업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개발한 이종구조 4인치 웨이퍼 제작 기술은 미국·국내 특허등록으로 원천기술도 확보했다. 어드밴스드 메터리얼즈, 에너지 앤 인바이런먼탈 메터리얼즈에도 표지논문으로 각각 선정됐다.

한편, 이번 연구는 기계연 기본사업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 핵심 공정용 플라즈마 장비 기반 원천 기술 개발' 과제 및 기계연 창의도전연구사업, 산업통상자원부 인력양성지원사업 과제 지원으로 수행됐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