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민 기자 |
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1%대를 기록했다. 여전히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인 채소류 물가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연말까지 2%대의 안정적인 물가 흐름을 보일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9(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1.3% 상승했다. 2021년 1월(0.9%) 이후 3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올해 4월(2.9%) 3% 아래로 내려온 뒤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1.6%)부터 1%대로 내려왔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석유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농·축·수산물 가격도 1%대로 둔화하면서 하향 안정세가 공고해지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
근원·생활물가 1%대… 채소류는 두 자릿수 상승률
신재민 기자 |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해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도 안정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1.8% 올랐다. 전달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한국 방식의 근원물가 지수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7% 상승했다. 구입 빈도가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해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는 1.2%를 기록했다. 2021년 1월(0.8%) 이후 4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물가 둔화의 1등 공신은 석유류 가격 하락이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달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1배럴당 74.9달러 선으로 1년 전(89.8달러) 대비 16.6%가량 낮다. 국제유가 안정에 따라 석유류 가격이 15개월 만에 최대 하락 폭(-10.9%)을 기록하면서 전체 물가를 0.46%포인트 끌어내렸다.
반면 채소류는 1년 전보다 15.6% 오르면서 2022년 10월(22.1%)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김장 재료인 배추(51.5%)·무(52.1%) 등 채소는 50% 넘게 뛰었고 상추도 49.3% 올랐다. 10월까지 폭염이 이어지면서 작황 부진으로 채소류 생육이 저조했다는 분석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배추 출하 지역이 경북·충북 등으로 확대되면서 가격이 하향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오는 28일 금통위 '촉각'
정부는 특별한 외부 충격이 없다면 안정적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김웅 한국은행(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물가 상황 점검 회의’에서 “지난해 말 유가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 유류세 인하율 축소조치 등으로 물가 상승률이 다소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소비자물가는 연말로 갈수록 2%에 근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오는 28일 있을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서 추가 금리 인하가 결정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지난달 금통위는 38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연 3.5%에서 3.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한은은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가계 부채 증가 등을 우려해 추가 인하에는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물가가 2%보다 낮은 상황이라 긴축적 통화 정책이 필요하지 않다. 올해를 포함해 두세 차례 정도 점진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 한은의 '한국의 중립금리 추정-BOK 경제연구' 보고서에는 한국의 명목 중립금리가 1.8~3.3%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실리기도 했다. 중립금리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참고로 하는 준거 금리로,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고 잠재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의미한다. 즉, 중립금리 중간값(2.55%)이 현재 기준금리(3.25%)보다 낮다는 점에서 추가 인하 여력이 있다는 풀이다.
세종=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