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올해 여름철 ‘스마트 홍수 알리미’, 댐 홍수조절 및 하천정비 확대가 홍수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5일 밝혔다. ‘스마트 홍수 알리미’는 환경부가 홍수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도입한 인공지능(AI) 홍수예보, 내비게이션 안내, 침수우려지역 안내문자 등 스마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국민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홍수위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전북 군산시 한 도로가 물에 잠겨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소방본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7월에 군산·익산 등에 역대급 비
6월 중순부터 7월 하순까지 이어진 올해 장마철(6월19일~7월27일)의 전국 강수량은 475㎜로 평년(1991년~2020년, 357㎜) 대비 32.5% 증가한 많은 비가 내렸다.
특히, 짧은 기간 좁은 지역에 집중하여 비가 내려 홍수 대응에 어려움이 많았다. 7월 한 달에만 경기 파주시에 최대 800㎜ 이상, 전북 익산시와 충남 서천군에 최대 700㎜ 이상의 비가 내려 연평균 강수량(약 1300㎜)의 절반 이상이 집중됐다.
7월10일엔 전북 군산시에 시간당 146㎜, 전북 익산시에 시간당 142㎜가 내리는 등 역대 시간당 최대 강수량 기록을 경신하고, 500년 빈도를 상회하는 강한 비가 내렸다.
7월 17∼18일 수도권에 집중된 호우로 경기 파주시에 이틀간 620㎜의 많은 비가 내렸으며, 시간당 최대 강수량은 101㎜를 기록하면서 역시 500년 빈도를 상회했다.
9월20∼22일 사이에도 약화된 열대저압부로 변한 14호 태풍(풀라산)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전국적으로 내렸는데, 경남 창원시에는 이틀간 531㎜의 비가 내려 500년 빈도 수준을 기록했다.
◆“AI홍수예보로 특보 발령 시간 감소”
정부는 해마다 반복되는 집중호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홍수예보를 실시했다. 인공지능이 매 10분마다 하천수위를 자동으로 예측하고 위험 알람을 주면, 홍수예보관이 검증한 후에 홍수특보(홍수주의보‧경보)를 발령하는 식이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홍수특보 발령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었고, 전년 대비 약 3배 늘어난 지점에 대해 홍수특보를 신속하게 발령할 수 있었다. 지난해 75개였던 홍수특보지점은 올해 223개로 확대됐다.
홍수특보지점 대폭 확대를 통해 올해는 최근 10년 평균 34건 대비 약 5배 증가한 170건의 특보가 발령됐다. 170건 중에 신규로 확대한 특보지점에서 133건(전체의 78%)을 발령했다. 지방하천의 경우에도 신규 특보지점에 특보를 발령해 홍수에 취약한 지방하천 범람을 대비해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고 환경부는 밝혔다.
아울러 홍수 발생 전에 하천 수위를 예측하는 홍수특보뿐만 아니라, 전국에 설치된 수위관측소(673개)에서 하천수위를 1분 주기로 관측해 제공하는 홍수정보를 관계기관에 총 2495건 전파했다.
홍수특보 및 홍수정보는 기존 팩스, 문자(SMS) 전파 외에 올해부터 음성메시지(VMS)를 통해 지자체 부단체장과 담당자 등에게 총 8651건 전파했다고 덧붙였다.
올해 집중호우로 7월10일 충청권(금산군 유등천, 옥천군 서화천), 7월18일 수도권(오산시 오산천, 이천시 복하천), 9월21일 경남권(김해시 조만강) 등 일부 지역은 하천수위가 계획홍수위를 초과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지만, 사전에 홍수특보 발령사항 등을 지자체에 즉시 전파해 주민들을 대피시키고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경기 파주시 월롱면의 한 컨테이너 제작공장이 침수돼 주차된 차량이 물에 잠겨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시 침수 예보, 20개 댐 홍수조절
도시지역 침수에 대해서도 차질없이 예보했다.
지난해 서울(도림천)에 이어, 올해에는 광주(황룡강), 포항(냉천), 창원(창원천) 지역까지 확대해 도시침수 예보를 실시했다. 하천 및 하수관로 수위 등을 확인해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 등을 지자체에 총 56회 알렸으며, 저지대 지역의 주민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7월부터 처음으로 차량 운전자가 홍수경보 발령지점이나 댐 방류지점 부근을 진입 시, 내비게이션에서 음성으로 안내했다. 41건의 홍수경보 발령 정보와 64건의 댐 방류정보를 내비게이션으로 제공해 지하차도나 저지대와 같은 위험지역에서의 운전을 주의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환경부는 전국의 20개 다목적댐을 통한 홍수조절을 적극 실시했다고 덧붙였다.
집중호우 시 최대한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홍수기(6월21일~9월20일) 전까지 다목적댐의 집중 방류를 통해 설계 대비 약 3배 수준의 홍수조절용량을 확보(62.5억㎥)했으며, 집중호우 시 댐에서 최대한 저류하여 하류 하천의 수위 상승을 최소화했다는 것이다.
환경부는 홍수에 안전한 하천 조성을 위해 제방 보강, 하천 준설 등 하천 정비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작년 4500억원 수준이었던 국가하천 정비 예산을 올해 6600억 원 수준으로 약 47% 대폭 확대해 홍수기 전 적극적인 하천 정비 등을 통해 하천의 홍수 대응능력을 강화했다.
환경부는 올해 처음 도입한 ‘스마트 홍수 알리미’ 기반의 홍수대응 경험을 토대로 세부사항을 개선하고, 댐 홍수조절과 하천 정비 등을 강화하여 홍수대응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김구범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예년에 비해 강하고 많은 비가 일상화되고 있는 만큼,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데 국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올해 처음으로 도입한 스마트 홍수 알리미 체계를 앞으로도 차질없이 운영하고, 댐과 하천 관리를 철저히 하여 국민들이 홍수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재영 기자 sisleyj@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