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물가와 GDP

10월 물가상승률 1.3%로 둔화… 김장물가는 여전히 불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대비 1.3%를 기록했다. 지난 9월에 이어 두 달 연속 1%대를 기록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다만,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세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 무 등 채소류 가격은 불안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4.69(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1.3% 상승했다. 이는 2021년 1월(0.9%)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세계일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4월(2.9%) 3% 아래로 내려온 뒤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며 안정세를 보였다. 9월(1.6%)부터는 1%대로 내려오며 둔화세가 뚜렷해졌다.

전체 소비자물가가 1%대를 보이고 있지만, 품목별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1.2% 올라 전체 물가를 0.1%포인트 끌어올렸다. 특히 채소류가 작년 같은 달보다 15.6% 오르면서 2022년 10월(22.1%) 이후 가장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김장 재료인 배추(51.5%), 무(52.1%) 등 채소는 50% 넘게 뛰었고 상추도 49.3% 올랐다.

쌀 가격은 8.7% 떨어지면서 지난해 1월(-9.3%) 이후 21개월만에 최대 하락 폭을 기록했다. 사과(-20%), 포도(-6.5%) 등 과일류 가격도 안정세가 이어졌다.

공업제품 가격 상승률은 1년 전보다 0.3% 하락하면서 21년 2월(-0.8%) 이후 44개월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석유류 가격이 15개월 만에 최대 하락폭(-10.9%)을 기록하면서 전체 물가를 0.46%포인트 끌어내렸다. 서비스 물가는 2.1% 상승했다. 외식을 비롯한 개인 서비스 물가는 2.9% 오르며 전체 물가에 0.96%포인트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

‘밥상 물가’와 관련 있는 신선식품 지수는 1.6% 상승률을 기록하며 1%대로 내려앉았다. 생활물가 지수 상승률도 1.2%를 기록해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정부는 물가 하향안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김범석 기획재정부1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차관회의 겸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석유류 가격이 하락하고 농축수산물 가격도 1%대 상승률로 둔화하는 등 물가 하향안정세가 공고해지고 있다”며 “특별한 외부 충격이 없다면 2% 이내 상승률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채소류 물가 불안에 대해 “배추 계약재배 물량을 지난해보다 10% 늘려 2만4000t 공급하고, 대파·마늘·천일염·젓갈류도 최대 50% 할인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