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집행위원회는 30일(현지시간) 0시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최고 45.3%의 관세를 부과한다. 앞서 EU 집행위원회는 회원국 투표에 따라 중국산 전기차에 최고 45.3%의 상계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일반관세 10%를 포함한 최종 관세는 상하이자동차 45.3%, 지리자동차 28.8%, BYD 27% 등이다.
중국산 전기차 관세율 최고 45.3% 확정한 유럽연합.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상계관세란 수출국에서 장려금·보조금을 지급 받아 생산된 물품이 수입국의 산업을 저해할 때 수입 억제를 위해 부과하는 관세를 말한다. EU 집행위원회는 중국 정부가 자국 전기차 업체들을 대상으로 대출, 세금 감면, 보조금 등의 부당한 혜택을 제공한다고 판단했다.
━
관세 장벽에 막힌 중국 전기차
최근 중국 전기차는 유럽 시장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유럽자동차산업협회(ACEA)에 따르면 중국산 자동차의 점유율은 2020년 2.9%에서 2023년 21.7%로 점유율이 급등했다. BYD, 상하이자동차 등이 저렴한 가격과 성능을 앞세운 전기차를 집중적으로 판매한 영향이다.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가 본격적으로 부과될 경우 유럽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의 성장세는 둔화할 수밖에 없다.
유럽자동차산업협회(ACEA)에 따르면 중국산 자동차의 점유율은 2020년 2.9%에서 2023년 21.7%로 점유율이 급등했다. 사진은 유럽으로 수출된 BYD 전기차.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도 지난달 27일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100%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전기차 산업에 보조금을 지급해 미국 내 자동차 산업을 위협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구체적으로 중국산 전기차에는 100%, 리튬이온 배터리에는 25% 수준으로 관세를 높였다.
중국 자동차 회사들은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현지에 공장을 짓고 있다. BYD는 헝가리에 공장을 건설 중이며, 터키에도 또 다른 공장을 세울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외에도 스페인, 이탈리아, 폴란드에서도 투자를 추진 중이다. 지리, 둥펑, 샤오펑 등의 기업도 유럽 내 미래 공장 위치를 물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한국 완성차 업체에 기회? 위기?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규제로 한국 완성차 업체들에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올해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수출은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였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1∼8월 한국의 전기차 수출은 17만8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23.4% 줄었다. 올해 상반기 현대차·기아의 유럽 시장 점유율 또한 8.2%로 전년 대비 0.5%포인트 하락했다.
현대차는 중국산 전기차에 제동을 건 유럽에서 친환경차를 앞세워 공략할 예정이다. 유로7(유럽 배기가스 규제) 기준에 맞는 차량을 내년부터 순차 출시할 예정이다. 유럽 현지 공장을 중심으로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 생산도 늘린다. 현대차 체코 공장은 하이브리드(HEV)부터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전기차(EV)까지 모든 생산설비를 갖춘 대규모 공장이다. 기아도 슬로바키아 공장에서 내년 하반기 가동을 목표로 EV 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체코 노소비체 현대차체코공장(HMMC) 내에 위치한 현대모비스 배터리시스템(BSA) 공장에서 현지 직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 현대차그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면, 중국산 전기차에 부과하는 고율 관세 여파가 우리 완성차 업체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강남훈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유럽 시장이 관세 우려로 봉쇄될 시 중국 브랜드의 차량이 아세안, 중동 등 신흥시장에의 진출을 본격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 경우 친환경 차 시장을 두고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중국 업체들과 보다 치열한 경쟁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영우 기자 november@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