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1만2000명 될 것”
![]() |
2018년 9월 9일 북한 평양에서 열린 북한 건국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행진하고 있는 북한 군인들. AP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젤렌스키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각) 아이슬란드 수도 레이캬비크에서 열린 제4차 우크라이나-북유럽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북한 군인과 장교는 이미 러시아 영토에 있고 이미 우리 영토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 군인은 3000명이다. 우리 정보기관이 제공한 첩보를 사실로 판단하고 있다”며 “그들(파병 북한군)은 곧 1만2000명이 될 것이다. 곧 그렇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북한이 계속해 러시아에 포탄을 제공하고 있다고도 비판했다.
그는 “포탄이 350만 발이라는 수치를 제공할 수 있다”라면서 “많은 미사일도 전달한다. 우리는 이를 믿지 않는 협력국을 위해 이 미사일의 파편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각) 아이슬란드 수도 레이캬비크에서 열린 제4차 우크라이나-북유럽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우크라이나 대통령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울러 “이란은 이미 러시아를 위해 (자폭용 무인기인) 샤헤드 생산 허가를 받았다. 또 동일한 샤헤드 무인기(드론)가 포함된 원조 패키지를 제공한다”면서 “그들은 이란이 러시아에 제공할 수 있는 미사일과 관련해 심층적인 대화를 나누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우리를 지원하지 않는다. 이는 꽤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그들이 러시아와 협력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들은 이 길에 점점 더 깊이 들어서고 있다”고 날을 세웠다.
같은 날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소셜미디어에 “북한 군대는 이미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있다. 이는 우리가 논의한 것과 한국이 확인한 것과 동일하다. 이제 우리 동맹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