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취업준비생 10명 중 6명은 구직 기대가 낮은 이른바 '소극적 구직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전국 4년제 대학 재학생과 졸업생 2,9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취업을 준비하는 4학년 이상과 졸업생 1,235명 가운데 60.5%(748명)가 소극적 구직 상태였습니다.
소극적 구직의 형태로는 '형식만 갖춘 의례적 구직'이 30.9%를 차지했으며, 그 뒤로 '구직 활동을 거의 안 함'(23.8%), '쉬고 있음'(5.8%) 등 순이었습니다.
적극적으로 구직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신의 역량, 기술, 지식 등이 부족해 더 준비하기 위해서'라는 답변이 46.7%로 가장 많았습니다.
그 다음으로 '전공 분야 또는 관심 분야의 일자리가 없거나 부족해서'(18.1%), '구직 활동을 해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할 것 같아서'(14%), '적합한 임금 수준이나 근로 조건을 갖춘 일자리가 없거나 부족해서'(10.1%)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적극적 구직자들은 올해 평균 6.3회 입사 지원했으며, 이중 서류 전형에 합격한 횟수는 1.4회로 평균 합격률은 22.2%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서류 전형 평균 합격률(28.3%)보다 6.1%포인트 낮은 수준입니다.
전체 응답자 중 36.5%는 올해 신규 채용 시장이 지난해보다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습니다.
취업 준비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으로는 '경력직 선호에 따라 신입 채용 기회 감소'(27.5%)가 가장 많이 지목됐고, 이어 원하는 '근로조건에 맞는 좋은 일자리 부족'(23.3%), '실무 경험 기회 확보의 어려움'(15.9%) 등이 꼽혔습니다.
예상되는 취업 준비 기간으로는 '6개월 이상'이 67.6%를 기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김지성 기자 jisung@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