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22 (화)

정부, 北 파병에 러 대사 초치···尹 "나토와 공동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러시아 측에 즉각적 北 철수 촉구

뤼터 사무총장과 통화···정보공유

北 침묵 유지···내부 동요 우려한듯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러시아 파병을 확인한 정부가 러시아대사를 초치해 강력 항의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은 정보 공유를 강화하고 러북 군사 밀착 진전에 대해 실효적인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외교부는 김홍균 1차관이 21일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 러시아대사를 정부서울청사로 불러 북한이 러시아에 병력을 보낸 데 대해 엄중히 경고하고 즉각적인 북한군 철수와 군사 협력 중단을 강력히 촉구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가장 강력한 언어로 규탄하면서 우리 안보를 위협하면 국제사회와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전했다.

김 차관은 북한의 파병이 국제사회를 향한 중대한 안보 위협이자 유엔 헌장,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지노비예프 대사는 한국 정부 입장을 본국에 정확히 보고하겠다고 답했다. 러시아는 이후 “북한과 협력이 국제법을 준수하며 한국의 안보 이익을 저해하지 않으며 한반도 긴장 고조의 원인에 대해 러시아와 한국의 입장이 상반된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북러 군사동맹으로 이어지며 진영 간 대결로 확전 조짐을 보이자 정부도 우방국과 결속을 재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뤼터 나토 사무총장과 전화 통화로 북한의 러시아 파병 정보를 공유했다. 윤 대통령은 “인도태평양과 대서양 안보가 불가분의 관계”라며 “러북 군사 협력에 따른 단계별 조치 시 나토 회원국과 실질적 대응을 함께 모색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뤼터 사무총장은 북한 파병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한국과의 적극적 협력을 다짐했다. 뤼터 사무총장은 나토에 정보 공유를 위한 한국 대표단 파견을, 윤 대통령은 한국의 나토 전장정보수집활용체계(BICES)의 신속한 가입을 서로 요청하고 화답했다. 양측은 러북 간 불법 협력에 대한 실효적인 공동 대응을 검토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또 방한한 데이비드 래미 영국 외교장관을, 김용현 국방부 장관은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를 각각 만나 공조를 약속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북한 파병과 관련한 독자 제재 등 다양한 대책도 논의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이 직접 가담한 것에 대응해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무기 지원 관련 질문에 “(북러 군사 협력) 동향에 따라서 필요한 부분이 검토되고 조치될 것”이라며 “다양한 가능성을 열고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군사 요원 파견 여부에 대해 전 대변인은 “전반적으로 가능성을 열어 놓고 필요한 부분을 검토한다”고 덧붙였다. 155㎜ 포탄 지원이나 군사 요원 파견을 고려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한국은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미국에 155㎜ 포탄을 수출했다. 이 방식을 다시 가동하거나 우크라이나에 직접 제공하는 방안 등도 언급된다. 다만 살상 무기 지원은 장기적인 한러 관계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박원곤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장은 “아직 러시아가 북한에 핵·미사일 기술을 제공하지는 않은 만큼 우리가 생각하는 ‘레드 라인’을 넘지는 않았다”며 “가장 강력한 수단인 무기 제공은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 등 대내외 선전 매체는 ‘북한군 러시아 파병’ 정보가 공개된 후 이날까지 사흘째 침묵을 이어갔다. 앞서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공급한다는 국제사회의 지적에 ‘조작’이라고 맞선 것과 확연히 다른 태도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파병 사실을 부인하기 어려웠거나 북한군이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사상자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주민 동요를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추정했다. 군은 이에 대북 확성기로 북측 파병 소식을 북한 주민에게 알렸다.

/이현호 기자 hhlee@sedaily.com, 우영탁 기자 tak@sedaily.com, 임진혁 기자 liberal@sedaily.com
이현호 기자 hhlee@sedaily.com우영탁 기자 tak@sedaily.com임진혁 기자 liberal@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