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이슈 메타버스가 온다

[K-VIBE] 노석준의 메타버스 세상...공산주의 포스터의 가상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편집자 주 =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2024년 발표에 따르면 세계 한류 팬은 약 2억2천5백만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또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초월해 지구 반대편과 동시에 소통하는 '디지털 실크로드' 시대도 열리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한류 4.0'의 시대입니다. 연합뉴스 K컬처팀은 독자 여러분께 새로운 시선으로 한국 문화와 K컬처를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되고자 전문가 칼럼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시리즈는 주간으로 게재하며 K컬처 팀 영문 한류 뉴스 사이트 K바이브에서도 영문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노석준 RPA 건축연구소 소장



공산주의, 사회주의 프로파간다 포스터는 토머스 모어와 그의 후예인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이 구현하려던 이상 사회를 매우 함축적이고 강렬하게 전달하고 있다.

공산주의자들은 그들이 이루려는 이상 사회를 전 세계에 전파하기 위해 여러 미디어를 활용했다. 그중 대표적인 방법이 프로파간다 포스터다.

공산주의자들은 강력한 통제와 지도를 통해 모든 국민이 행복할 수 있는 유토피아적 사회를 완성하고자 했다. 이 때 그들의 사상적 이념과 가치를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독특한 방식의 가상적 이미지와 함축적이고 강력한 문구가 적힌 프로파간다 포스터를 제작하고 배포했다.

프로파간다 포스터로 탄생한 결과물은 종이 한 장에 불과했지만, 그 안에는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와 이념, 유토피아적 사회, 대중의 공감을 이끄는 강력한 메시지까지 모두 담겨 있었다.

◇ 프로파간다 포스터와 시스티나 성당화의 공통점

프로파간다 포스터에는 카를 마르크스와 엥겔스를 비롯한 여러 사회주의 사상가가 주장해온 난해하고 복잡한 철학과 이론이 존재한다. 또 사상가들이 주장하는 이상 사회의 실현을 위한 방법론, 새롭게 탄생할 공산주의 정치 시스템과 산업화의 방식, 도시와 건물의 건설 방식의 매우 복잡한 스토리가 존재한다.

그래서 작은 종이 한 장에 공산주의 국가의 건설 계획과 미래의 유토피아적 사회의 건설, 모든 사람이 행복하게 사는 모습 등 그들이 꿈꾸는 가상적 미래상을 모두 함축해야 했다.

무척 신선하고 혁신적인 시도처럼 보이지만 사실 프로파간다 포스터의 탄생과 기획 방식은 과거 미켈란젤로가 창조한 시스티나 성당화와 유사한 점이 많다. 먼저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연합뉴스

미켈란젤로 '최후의 심판'



이들 모두 가상 세계를 구현할 공간에 물리적 크기의 한계성이 존재했다. 공산주의자들에게는 종이 한 장이라는 극도로 제한된 물리적 공간이, 미켈란젤로에게는 성당이라는 건축 공간의 물리적 제한이 존재했다.

프로파간다 포스터의 경우에는 토머스 모어에서 시작된 인류가 항상 꿈꿔왔던 완전한 유토피아적 평등 사회의 철학과 사상적 이론, 이를 실체화하기 위한 방법론, 심지어 그들의 지도자를 신격화하는 것까지 모두 종이 한 장의 공간 안에 함축적이고 강렬하게 담아야 했다.

시스티나성당의 벽화와 천장화 역시 성경 속에 등장하는 여러 성스러운 스토리들과 수많은 성인의 모습, 사후 세계의 모습, 최후의 심판이 벌어지는 장면, 하나님의 거룩하고 위대한 모습까지 성당의 벽과 천장이라는 제한된 공간에 함축적으로 담아야 했다.

표현 공간의 물리적 제약 외에도, 프로파간다 포스터와 시스티나성당 화가 그 안에 담긴 스토리를 실체화할 때 신화적 전달 방식을 활용한 점도 비슷했다.

신화적 전달 방식은 일반적으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현실을 뛰어넘는 초자연적인 이야기를 담고, 등장인물도 초현실적인 수준으로 존재감을 과장한다.

공산주의자들이 꿈꾸는 이상 사회가 현실 세계에서 구현되려면 대중의 절대적 지지와 희생이 필요했다. 공산주의자들이 신화적 전달 방식을 통해 가상적 메시지를 극적으로 만든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프로파간다 포스터를 통해 마치 천국과도 같은, 풍요롭고 행복한 이상 사회의 청사진을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이 현실에서 엄청난 노력과 희생을 기꺼이 감수할 수 있도록 유도한 것이다. 이는 기독교 사회에서 사후 세계를 천국과 지옥으로 묘사하는 신화적 장치를 통해 사람들에게 선을 행하고 하나님을 따르게 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이다.

◇ 종이 한 장에 담긴 종합 선물 세트

프로파간다 포스터에 담긴 메시지가 사람들에게 빠르게 전파되고 강력한 힘을 발휘한 데는 종이라는 매체의 역할도 크다. 프로파간다 포스터는 종이라고 하는 매우 경제적인 미디어의 특성상 대량으로 생산되고, 사회 구성원 모두가 이것을 직접 가까이서 보고 가질 수 있도록 배포되었다.

공산주의자들은 성당의 벽이나 천장에 그려진 그림을 보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특별하고 강력한 메시지를 개개인에게 전할 수 있었다. 프로파간다 포스터는 모든 개인이 직접 소유하면서 언제든 꺼내 보거나 개인 공간에 전시해 가상 세계로 원할 때마다 로그인 할 수 있다.

오늘날 우리가 각자 모바일 기기를 통해 언제든 소셜 미디어나 메타버스 세계로 접속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하다.

프로파간다 포스터는 그림에 사용한 표현 기법도 매우 독특하다. 우선 사물의 색상이나 형체가 사실적이지 않고 과장돼있다. 특히 원색에 가까운 선명한 색채를 주로 사용해 강렬한 시각적 반응을 일으킨다.

마치 현대의 만화나 초기 메타버스, 컴퓨터게임 그래픽 이미지 같은 느낌이다. 그림에 굵은 테두리 선을 활용하거나 힘 있는 직선적 표현을 많이 활용함으로써 강력한 의지를 드러내기도 한다.

공산주의 사회에서 제작된 프로파간다 포스터에서 보이는 공간적 스케일 역시 현실적이지 않다. 마치 여러 종류의 사건이 겹쳐서 동시에 일어나듯이 여러 공간이 콜라주 되기도 한다.

즉, 크기가 제한된 한 장의 종이에 모든 요소를 함축해 담아내려다 보니 모든 것이 극단적이고 과장되게 표현된다. 이는 마치 여러 종류의 과자를 하나의 상자 안에 훌륭하게 담은 종합 과자 선물 세트를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 둘 다 주어진 콘텐츠나 과자를 한 장의 종이, 하나의 상자에 나름의 방식으로 넣는다.

이때 완성된 결과물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재료들의 중요도에 따라 순서와 방식을 정해서 넣고, 빠뜨리는 것이 생기지 않도록 제한된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한다.

연합뉴스

프로파간다 포스터




위 포스터 속에는 이상적인 국가를 건설하는, 매우 즐겁고 행복한 모습의 노동자들이 있다. 포스터는 이러한 즐거운 노동을 통해 거대한 지하철 공간이 건설되는 시간과 공간을 보여주고 있다. 아래 포스터는 과장된 원근법을 활용했고, 한 장의 종이에 여러 종류의 사건과 시공간을 한꺼번에 보여준다.

연합뉴스

프로파간다 포스터



배불리 먹을 수 있는 풍요로운 땅과 곡물, 엄마와 아이의 행복한 표정을 통해 사람들에게 이상 사회를 보여준다. 또 무지개를 보여줌으로써 평화로운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프로파간다 포스터




위의 포스터는 구소련의 프로파간다 포스터고 아래쪽은 북한의 포스터다. 둘 다 풍족한 삶의 이상향을 표현했다. 위쪽 포스터에서는 큰 빵을 양손 무겁게 들고 있는 여자의 과장된 모습을 통해 배고픔 없는 풍족한 사회를 보여주고 있다. 아래쪽의 여자도 온갖 종류의 음식을 앞에 두고 있다. 포스터만 보면 이 두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모든 사람이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사는 것처럼 보인다.

연합뉴스

프로파간다 포스터




한편, 대부분의 프로파간다 포스터에서는 공산주의 지도자들이 항상 신격화되고 찬양된다는 특징도 있다. 모두가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사는 이상 사회를 건설해줄 지도자이기에 신과 같이 위대하고 성스러운 존재로 표현되는 것이다.

지도자를 신격화함으로써 공산주의자들은 그들이 꿈꾸는 이상적인 체제를 유지하고 집단 구성원들의 단결과 협력을 끌어낼 수 있고, 지도자를 신과 같은 존재로 여기며 존경심과 충성심을 갖게 된다.

노석준 RPA 건축연구소 소장

▲ 메타버스 및 가상현실 전문가. ▲ 고려대 겸임교수 역임

<정리 : 이세영·성도현 기자>

raphael@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