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7 (목)

[르포]"감귤로 무슨 와인을"…제주양조장의 '도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0년 설립…'1950 SEE TOU AT THE TOP' 브랜드로 감귤와인 선봬

한일중 정상회의·서울 G20 정상회의 공식 건배주로 '명성' 얻어

제주産 감귤 100% 활용…천혜향이어 샤인머스캣와인까지 내놔

朴 대표 "제주에만 27개 양조장…지역 특산주, 지자체 관심 절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김승호 기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삼다수 마을'로도 잘 알려진 이곳에 좋은 물과 제주서 나는 감귤 등으로 와인을 만드는 농업회사법인 ㈜제주양조장이 있다. '술익는 마을'이다.

입구에는 '1950 제주양조장'이란 글씨가 선명하게 보인다. '1950'이란 숫자가 한라산 높이라는 것은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는다.

"'1950'은 한라산 정상 높이인 1950m를 의미하는 게 맞다. 여기에 도전하는 사람만이 밟을 수 있는 '정상'을 의미하는 '정상에서 만납시다'를 합해 브랜드를 '1950 SEE TOU AT THE TOP'이라고 했다." 입구에서 만난 제주양조장 박종명 대표의 설명이다.

브랜드 네이밍에 '정상(THE TOP)'이란 의미를 담은 박 대표의 선견지명은 통했다.

2010년 회사를 설립하고 출시한 와인이 바로 그 해 열린 '한·일·중 정상회의'와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공식 건배주로 쓰였기 때문이다. 그때부터 제주양조장에서 만드는 와인(화이트와인)은 제주 토종 와인의 대명사가 되다시피 했다.

와인의 재료는 다름아닌 제주에서 나는 감귤이다. 감귤로 와인을 만든 것은 제주양조장이 처음이다.

"초기엔 감귤로 무슨 와인을 만드느냐고 하는 고정관념을 깨는 게 가장 어려웠다. 귤은 껍질을 벗기면 오일 성분이 나오는데 이것 때문에 포도와 달리 발효가 잘 되지 않는다. 감귤로 와인을 제조하는 기술은 농촌진흥청 감귤연구소가 개발한 것을 이전받았다. 이후로도 농진청이 꾸준히 도움을 줬다. 캐나다 등에 가면 사과와인은 선물로 잘 사오면서 감귤와인은 안된다는 생각을 없애고 싶었다. 정상회담때 건배주로 선택받으며 인식이 많이 바뀐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 대표의 안내로 실제 와인을 만드는 양조장 내부로 들어가니 코가 가장 먼저 반응했다. 발효하는 과정에서 나는 술 익는 향기다.

"우리 양조장엔 현재 용량 3399리터(ℓ) 짜리 통(조) 3개가 있다. 이들은 발효조, 숙성조, 제성(알콜 도수·감미도를 맞추는 과정)조로 각각 쓰인다. 이 정도 크기면 국세청 기준으로 농가 보급형 시설에 속한다. 각각의 조 내부는 제주산 참나무로 제작한 오크통이 들어가 있다. 지금은 샤인머스캣와인을 만들기위해 열흘 정도 발효를 하고 있다."

샤인머스캣 역시 현재 제주에서 생산하고 있는 원물을 쓴다. 물론 감귤도 100% 제주산이다.

박 대표는 "포도와인은 반드시 하고 싶었다. 주변 사람들이 감귤와인을 만들면서 포도와인은 왜 하지 않느냐고도 했다. 이젠 제주 김녕농협 작목반에 속한 16개 농가에서 샤인머스캣을 재배하고 있어 재료 수급도 가능하게 됐다. 맛도 기대가 된다"며 미소를 지었다.

샤인머스캣을 이용한 포도와인까지 생산하면 제주양조장은 대한민국에서 처음 만든 감귤과인 그리고 천혜향와인에 이어 3번째 제품을 내놓게 된다. 와인은 750㎖와 80㎖ 미니어처로 각각 판매하고 있다.

"와인은 현재 전통주와 마찬가지로 온라인으로도 판매가 되고 있다. 지역에서 나오는 원료를 80% 이상 쓰면 '지역 특산주'로 인정받기 때문이다. 우린 지역에서 나는 원료를 100% 사용하고 있다. 제주에 있는 신라면세점이나 호텔, 리조트에서도 우리 와인을 만나볼 수 있다."

박 대표는 와인 생산량을 현재의 10배 수준으로 늘리기위해 준비하고 있다.

그는 "지금의 양조장 크기로는 750㎖ 기준으로 연간 4만병 정도 밖에 생산할 수 없다. 규모의 경제가 되질 않는다. 올해 생산량은 4만7000병 정도가 될 것 같다. 이를 위해 들어가는 감귤의 양도 연 40톤(t) 정도다. 4만t 정도는 써야 뭐가 되도 된다. 그래서 내년엔 양조장을 이전해 증설하려고 한다. 허가도 다 받았다. 하지만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지원예산이 아예 끊겨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며 쓴웃음을 지었다.

박 대표는 제주술생산자협동조합 이사장도 함께 맡고 있다.

"제주에는 현재 27개 양조장이 있다. 면적 기준으론 전국에서 가장 많은 양조장이 분포해 있는 것 같다. 청년들이 양조장 창업을 많이 하고 있다. 그런데 지역특산주는 지자체의 관심이 절대적이다. 잘 되고 있는 안동소주를 봐라. 그런면에서 제주도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한 것 같아 상당히 아쉽다."

박 대표는 독특한 이력을 갖고 있다. 대학에서 파산법을 전공했다.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월요일부터 수요일까지는 제주대학교 행정학과에서 겸임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목요일부터 토요일까지는 양조장에서 술을 만들고 있다. 교수님이 이중생활을 하고 있는 셈이다.

"술이 좋아서 그렇게 됐다. 파산업무를 할 때 매각 채권중에 감귤밭이 있었다. 그냥 버려지는 감귤들을 보면서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까 생각하다 여기까지 왔다.(미소)"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