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저연차 퇴직 급증세
“임금 적고 민원업무 스트레스 커”
5~10년 ‘허리 연차’도 잇단 이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직 사회에선 스스로 발전하거나 전문성을 쌓을 기회가 없을 거라 느껴져서 빠르게 퇴사했어요.”
수도권에서 7급 공무원으로 근무했던 김모 씨(27)는 7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2022년 입사했던 김 씨는 근무 3개월 만에 공직 사회를 떠나 사기업으로 향했다. 김 씨는 “‘사고만 안 나면 된다’는 보신주의와 경직된 업무 문화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고 했다. 안정적인 직장을 원해 공직을 택했던 9급 공무원 박모 씨(28)는 처음 월급을 받고 충격을 받았다. 그는 “건강보험료 등을 공제하고 실수령하는 금액은 수당을 다 포함해서 200만 원이 안 된다”며 “민원 등 기피 업무도 많아 공무원을 하고 싶은 요인이 다 사라진 느낌”이라고 토로했다.
민간 기업에 비해 낮은 급여와 민원 업무와 같은 대민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경직된 공직 문화 등으로 인한 불만이 커지며 공직을 이탈하는 MZ(밀레니얼+Z)세대가 늘면서 저연차 공무원 퇴직자가 최근 10년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조승환 의원이 인사혁신처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 일반공무원 퇴직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 538명이던 재직 기간 1년 미만 공무원의 일반 퇴직자 수는 지난해 3021명으로 급격히 늘었다. 연간 퇴직자 수가 9년 새 5.6배 규모로 급증한 것이다. 같은 기간 1년 이상 3년 미만 재직자의 퇴사는 2348명에서 5630명으로, 3년 이상 5년 미만 재직자의 퇴사는 2410명에서 4917명으로 각각 2배 이상으로 늘었다.
5년 이상 10년 미만 재직한 ‘허리 연차’들의 퇴사도 잇따랐다. 5년 이상 7년 미만 재직자의 퇴사는 2014년 662명에서 지난해 2050명으로 약 3배로 늘었다. 7년 이상 10년 미만 재직자의 경우 2014년 637명에서 2022년에 1000명대를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 1563명이 공직을 떠난 것으로 파악됐다.
쥐꼬리 월급에 민원 스트레스… 경직된 공직문화도 원인
1년미만 공무원 퇴직 5.6배로
월급 실수령액 200만원도 안돼
‘모시는 날’ 등 불합리한 관행 여전
“공직문화 바뀌어야 이탈 줄어들것”
최근 저연차 공무원들의 퇴사가 급증한 데는 낮은 임금, 민원 업무 등 고강도의 업무 환경, 경직된 공직 문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 소속의 한 2년 차 주무관은 “격무 부서에 배치됐던 입사 동기가 지난해 초에 갑자기 퇴사했다”며 “입직 초기엔 실수령 200만 원도 안 되다 보니 10년 이상은 다녀야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정도”라고 말했다. 격무에 시달리면서도 일한 만큼 대접을 받지 못한다는 인식도 컸다. 한 중앙부처 소속 5년 차 공무원은 “과마다 초과근무 시간이 할당돼 있어서 그 시간보다 근무를 더 해도 수당을 받을 수 없다”면서 “국정감사, 예산 시즌처럼 업무가 많을 때에는 사실상 무급 봉사를 하고 있는 것”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경직된 공직 문화도 저연차 공무원들의 이탈을 가속화하고 있다. 부하 직원들이 순번을 정해 자신이 소속된 부서의 국·과장 등 상사에게 식사를 대접하는 ‘모시는 날’이나 인사철 떡 돌리기 문화 등 불합리한 관행이 이어지면서 수평적이고 유연한 문화의 사기업으로 이탈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서울에서 근무하는 한 주무관은 “전혀 모르는 옆 부서 직원, 상사한테까지 종이 청첩장을 돌리고, 신혼여행을 다녀오면 답례를 해야 하는 문화가 상당히 구시대적으로 느껴졌다”며 “관습같이 남아 있는 공직 문화 중에 ‘꼰대스럽다’고 느껴지는 것이 많았다”고 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반복되는 인사상 불이익과 공무원을 상대로 한 수사 등도 공직에 대한 열의를 떨어뜨린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중앙부처 공무원은 “최근에 산업통상자원부 내부에서는 ‘대왕고래 프로젝트’ 피하기에 여념이 없다고 들었다”며 “탈원전, 동해 가스전 시추 등 정권 입맛에 맞는 정책을 상명하복식으로 추진하도록 해 놓고 정권이 바뀌면 그 책임을 공무원한테 돌리니 다들 ‘빠른 탈출이 답’이라고 생각하는 분위기”라고 꼬집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조용한 공직 탈출’을 준비하는 젊은 공무원도 늘어나는 분위기다. 지난해 중앙부처 7급 공무원으로 입사한 이모 씨(31)는 최근 법학적성시험(LEET)을 응시하고 법학전문대학원 진학을 준비하고 있다. 이 씨는 “저연차가 하는 말이면 일단 듣지 않고 상명하복식으로 일을 시키는 문화에 지쳤다”며 “차라리 전문성을 쌓아서 주도적으로 더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에 퇴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김태윤 한양대 행정학과 교수는 “행복한 삶을 중요시하는 젊은 세대들의 가치에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불합리한 조직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며 “구태의연한 공직 문화나 업무 배분 방식이 바뀌어야 저연차 공무원들의 이탈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전혜진 기자 sunrise@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