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암 ‘과잉진단’ 논란 이후 환자들의 사망률을 분석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갑상선암에 대한 ‘과잉진단’ 논란 이후 치료 전략에 변화가 나타나면서 갑상선암 사망률이 증가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과잉진료 못지 않게 과소진료 역시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려대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신곤·김경진 교수, 서울대 의대 박영주 교수 연구팀은 갑상선암 과잉진단 논란 후의 갑상선암 사망률 변화를 분석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세계외과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에 게재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진은 2005~2018년 갑상선암 진단을 받은 환자 43만4228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연구를 수행했다.
국내의 갑상선암 발생률은 2000년대 들어 급격히 높아져 2009년 갑상선암이 발생률 1위 암종에 올랐다. 갑상선암의 가파른 증가세를 두고 2010년대 초반부터 의료계 일각에서 과도한 진단이 원인이라고 지적하면서 뜨거운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후 갑상선암의 치료 전략에는 변화가 나타났고, 연구진은 이런 변화가 갑상선암 환자의 사망 등에 미친 영향을 본격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연구결과, 2005년부터 꾸준히 상승한 갑상선암 발생률은 2012년 10만명당 91.9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과잉진단 논란이 벌어진 시기를 지나면서 차츰 낮아져 2015년에는 10만명당 50.6명으로 급감했다. 이후 2018년까지는 10만명당 50명대의 발생률을 유지하며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갑상선암 사망률은 2005년 1000인년(1인년은 환자 1명을 1년간 관찰했을 때를 기준으로 한 단위)당 1.94명에서 2013년 0.76명으로 감소했으나 이후 다시 꾸준히 상승해 2018년에는 2.70명까지 증가했다. 치료법에 따른 사망률 추이를 보면 갑상선 절제술을 받지 않았거나 갑상선 조직 전체를 제거하는 전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사망률이 2013년 이후 증가했다. 이에 반해 절반을 제거하는 반절제술과 부분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사망률은 전 기간동안 낮게 유지됐다.
연구진은 결과에 대해 갑상선암 대부분은 예후가 좋지만 드물게 예후가 매우 나빠 양극단으로 나뉘는 특성을 보이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며 과잉진료와 과소진료 모두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2015년 이후 갑상선암 관련 사망률이 증가했다는 것은 과잉진단 논란 이후 진단·치료시 적용된 기준에 보완할 점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갑상선암의 위험도를 정확히 판단해 고위험 환자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이뤄져야 하며, 동시에 저위험 환자에서는 과잉치료를 줄이고 정확한 추적관찰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학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평균 92분, 14곳 ‘뺑뺑이’… 응급실 대란을 기록하다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