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서울 종로구서 대규모 만찬
친한계 외 소장파·비례도 합류
“용산 아닌 韓 중심으로 뭉치자”
‘金여사 리스크’ 심화 우려 공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오후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만찬 회동을 마친 후 차로 향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진·신현주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친한동훈(친한)계 현역 국회의원 20명이 6일 만찬 회동을 갖고 ‘김건희 여사 리스크’를 포함한 여권 상황 전반에 대한 우려를 공유했다. 참석자들은 “(김 여사의) 사과는 이미 늦었다”며 국정감사 이후 전향적인 대응 필요성에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같은 날 동남아 3국 순방을 떠난 윤석열 대통령 환송에 불참한 한 대표가 친한계와 이례적인 대규모 만찬을 가진 것을 놓고 ‘세 과시’라는 정치적 해석이 나왔다.
7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전날 오후 서울 종로구의 한 중식당에서 2시간30분가량 진행된 만찬에는 한 대표와 3선의 송석준 의원, 재선의 김형동·배현진·박정하·서범수·장동혁 의원, 초선의 김소희·박정훈·주진우·정성국·진종오·한지아 의원 등 7·23 전당대회 선거기간 텔레그램 단체채팅방 ‘팀 한동훈’에 참여했던 현역, 6선의 조경태 의원, 원외 인사인 김종혁 최고위원 등이 참석했다. 친한계로부터 제안을 받은 초선의 김재섭·김상욱·김건 의원도 만찬에 합류하며 참석자가 20명을 넘었다. 친한계가 한자리에 모인 것은 전당대회 이후 처음으로, 초재선·과업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결속력이 낮다는 평가를 받았다는 점에서 대규모 만찬 자체가 이례적이란 평가가 나왔다.
특히 이번 만찬은 야권에 의해 두 번째로 실시된 ‘김건희 여사 특검법’ 국회 재표결에서 최소 4표의 이탈표가 나온 지 이틀 만에 이뤄져 “세 몰이”란 해석을 낳았다. 취임 100일을 앞두고 당정 지지율 동반 하락, 원외 대표 한계론 등 악재를 만난 한 대표가 당정관계와 대야 전략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해 본격적인 ‘홀로 서기’에 나섰다는 시각이다. 한 대표가 부산 금정구청장 재보선 현장 유세를 이유로 같은 날 오전 5박6일간 순방 일정을 떠난 윤 대통령 환송에 불참한 것도 이 같은 해석을 부추겼다.
한 만찬 참석자는 “현역 의원만 20명이 넘고, 총 22~23명 정도 되는 사람들이 한 대표가 모이자고 하니까 모인 것”이라며 “친윤(친윤석열)계나 대통령실을 중심으로만 뭉쳐서는 안 된다는 ‘한동훈을 중심으로 뭉치자’는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보여줬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 한 대표가 세력화를 하지는 않았지만, 이제는 변화의 분위기를 보여줘야 할 때가 왔다”며 “당이 바뀌어야 하고, 친윤계에 대한 문제가 크다. ‘한동훈이 바꿔 달라’는 의견이 있었고 한 대표도 공감했다”고 했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대통령 순방 환송 일정은 당정관계에 대한 해석을 낳기 때문에 역대 당대표들이 최고위원회의까지 미루며 참석했을 정도로 우선시했던 정치적 행위”라며 “‘불참’이란 정치적 결정을 한 뒤에 친한계를 모은 것은 세 몰이로 보는 게 맞다”고 말했다.
만찬 자리에서는 명품백 의혹, 공천 개입 의혹 등이 제기된 김 여사에 대한 우려가 터져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야당이 김건희 여사와 관련 증인들을 국정감사에 세워서 이상한 이야기들이 많이 나올 텐데 지금보다 지지율이 더 안 좋아질 것이다”, “국감이 끝난 뒤 뭔가를 하지 않으면 당이 정말 무너질 상황”이라는 발언이 오갔다. 김 여사의 대국민 사과 필요성과 관련해서는 “이미 늦었다”는 공감대가 이뤄졌다. 또 다른 참석자는 “이미 늦었고, 택도 없다는 이야기가 나왔다”며 “국감에서 나온 게 사실이든 거짓이든 국민들은 그대로 믿을 것이고, 사과는 리스크가 너무 크다는 것”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참석자들은 김 여사 문제와 관련해 국감 이후 여론 추이를 지켜보며 대응을 논의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표는 테이블을 옮겨 앉으며 참석자들에게 “(해결책을) 찾기가 어려우니 많은 의견들을 주시라”, “다선 의원님들에게도 여쭤봤는데 답을 못 주시더라”, “더 자주 만나 소통하자”고 했다고 한다.
김 여사 의혹과 관련해 커지는 친한계의 목소리는 향후 당정관계의 추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또 다른 참석자는 “우리가 당장은 할 수 있는 것이 없고, (의혹이) 나오는 상황을 지켜보는 것뿐”이라면서도 “만약 (여사 관련) 의혹의 명백한 실체가 드러나면 우리가 어떻게 하겠나. 언제까지 용산(대통령실) 방어만 하고 있을 수 없지 않나”라고 했다.
soho0902@heraldcorp.com
newkr@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