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200만원 월급 떼서 국과장 모시는날" 9급 공무원 절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자체 공무원 44% '모시는 날' 경험…77% 사비 걷어 지출

"월급 500만원 받으면서…200만원 받는 청년 돈으로 점심"

뉴스1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일 부산 영도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해양경찰청, 해양환경공단,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수협), 부산항만공사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2023.10.20/뉴스1 ⓒ News1 윤일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한병찬 기자 = 공직 사회에서 말단 공무원들이 사비를 걷어 국·과장에게 식사를 대접하는 이른바 '모시는 날' 관행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지자체 소속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직사회 모시는 날 관행에 대한 공무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지방공무원 1만 2562명 중 75.7%(9479명)가 모시는 날을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중 44%(5514명)는 최근 1년 이내에 모시는 날을 직접 경험했거나 지금도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다. 모시는 날은 팀별로 순번이나 요일을 정해 소속 부서의 국·과장 등 상관에게 식사를 대접하는 관행이다.

공직자들이 최근 1년 내 경험한 모시는 날은 주로 점심시간(57.6%, 커피 제외)에 이뤄졌다. 저녁식사(7.2%), 술자리(10.4%)를 진행한다는 답변도 있었다.

이들이 '모시는' 대상은 대부분 소속 부서의 국·과장으로 둘 다에게 식사를 대접한다는 응답 비중이 44.9%를 차지했다. 이어서 과장 35.5%, 국장 17.0% 순으로 높았다.

식사비용 부담 방식은 소속 팀별로 사비를 걷어 운영하는 팀비에서 지출한다는 응답이 55.6%로 가장 많았다. 사비로 지출하되 당일 비용을 갹출하거나 미리 돈을 걷어놓는다는 응답은 21.5%, 근무기관 재정을 편·불법으로 사용한다는 답변은 4.1%로 조사됐다. 국·과장이 비용을 부담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주로 업무추진비(31.1%)를 이용했다.

조사에 참여한 공무원 10명 중 7명은 모시는 날을 '부정적'(69.2%)으로 생각했다. 특히 '매우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44.7%로 많았다.

필요성을 묻는 말에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 응답이 43.1%, '별로 필요하지 않다'는 답이 25.8%였다.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로 '시대에 안 맞는 불합리한 관행'이라는 응답이 84%(3189명, 중복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서장과 식사자리가 불편함 57.7%·2191명 △금전적 부담 43.4%·1648명 △업무에 도움이 되지 않음 39.8%·1510명 △준비 과정이 수고스러움 38.5%·1462명 순이었다.

설문조사에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자유롭게 기술해달라'는 질문에는 "9급 3호봉인데 매달 10만 원씩 내는 게 부담스럽다", "월급 500만 원 받는 분들이 200만 원 받는 청년들 돈으로 점심 먹는 게 이상하다", "비용을 메꾸기 위해 초과근무를 시킨다", "업무추진비는 부서장 용돈처럼 쓰고 모시는 날에는 사비를 갹출한다", "노래방 사회까지 시킨다" 등 반발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 외에도 "제발 없애달라"는 호소가 담긴 의견이 수백 건 제출됐고 소속 기관의 실명을 거론하거나 구체적인 혐의 감사를 요구하는 응답도 다수 있었다. 지자체뿐만 아니라 경찰청, 보건소에서도 비일비재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위성곤 의원은 "젊고 유능한 공직자들이 느끼는 무력감이 가장 큰 문제"라며 "현장 실태를 모르는 중앙부처 담당자들은 수박 겉핥기식 탁상행정으로 방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위 의원은 "비용 전가 및 과도한 의전에 대한 문제와는 별개로 소통 자체는 꼭 필요하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며 "리더들이 관행의 틀에 안주하지 않고 생산적으로 소통하는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bcha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