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여름처럼 더웠던 날씨 때문에 해충도 크게 늘었습니다. 나뭇잎을 모조리 갉아 먹어서 가지만 남은 나무들이 많습니다.
G1 방송 정창영 기자입니다.
<기자>
다닥다닥 나뭇잎에 붙어 있는 애벌레.
외래종인 미국흰불나방의 유충으로 집단으로 서식하며 활엽수 잎을 갉아 먹습니다.
유충이 발생한 벚나무는 앙상한 가지만 남았습니다.
원주시 문막읍 일대 가로수와 산책로까지 멀쩡한 벚나무를 찾아보기 힘들 지경입니다.
유충이 생기기 시작한 지난 7월 주민이 지자체에 신고했지만 번식을 막을 수 없었습니다.
유충이 극성을 부리는 건 무더운 가을이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보통 6~8월 사이 두 번 정도 부화하는데 높은 기온 탓에 한 번 더 부화하게 된 겁니다.
[박용환/국립산림과학원 임업연구사 : 가을 폭염까지 이어지면서 생활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평소에는 2세대에서 끝나던 애들이 한 번 더 번식할 수 있는 기후 조건이 맞춰진 거죠.]
[이희숙/나무의사 : 한 마리 성충이 600개 내지 700개 정도 알을 산란을 하는데 지금 이 시간에 방제하지 않으면 어마무시하게 내년에 유충이 발생이 되죠. 대발생을 예고할 수 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올해 미국흰불나방 유충으로 인한 피해가 지난해보다 15% 정도 높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영상취재 : 신현걸 G1방송, 영상편집 : 이소영)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여름처럼 더웠던 날씨 때문에 해충도 크게 늘었습니다. 나뭇잎을 모조리 갉아 먹어서 가지만 남은 나무들이 많습니다.
G1 방송 정창영 기자입니다.
<기자>
다닥다닥 나뭇잎에 붙어 있는 애벌레.
외래종인 미국흰불나방의 유충으로 집단으로 서식하며 활엽수 잎을 갉아 먹습니다.
본래의 형태를 잃고 잎맥만 남겨진 나뭇잎을 보면 유충의 먹성을 알 수 있습니다.
유충이 발생한 벚나무는 앙상한 가지만 남았습니다.
원주시 문막읍 일대 가로수와 산책로까지 멀쩡한 벚나무를 찾아보기 힘들 지경입니다.
유충이 생기기 시작한 지난 7월 주민이 지자체에 신고했지만 번식을 막을 수 없었습니다.
[신고 주민 : (7월에) 읍사무소와 원주시 수목 관리하는 부서에 전화를 드려서 '방제가 시급합니다'라고 정확히 말씀드렸죠. 지금 상황으로 보면 방제가 됐을까라는 의구심도 들고….]
유충이 극성을 부리는 건 무더운 가을이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보통 6~8월 사이 두 번 정도 부화하는데 높은 기온 탓에 한 번 더 부화하게 된 겁니다.
[박용환/국립산림과학원 임업연구사 : 가을 폭염까지 이어지면서 생활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평소에는 2세대에서 끝나던 애들이 한 번 더 번식할 수 있는 기후 조건이 맞춰진 거죠.]
전문가들은 유충이 더 크기 전 방제를 실시해 성충이 되는 걸 막아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희숙/나무의사 : 한 마리 성충이 600개 내지 700개 정도 알을 산란을 하는데 지금 이 시간에 방제하지 않으면 어마무시하게 내년에 유충이 발생이 되죠. 대발생을 예고할 수 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올해 미국흰불나방 유충으로 인한 피해가 지난해보다 15% 정도 높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영상취재 : 신현걸 G1방송, 영상편집 : 이소영)
G1방송 정창영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