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동해를 일본해로, 한반도 지도는 엉터리로‥AI 주권 확보 '절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앵커 ▶

인공지능 분야에서 주권 지키기 경쟁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특정 국가, 특정 기업이 만든 AI 모델에 의존하면 이용자의 의식 자체가 잠식당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데요.

각 나라의 AI 주권이 중요한 이유, 정동욱 기자가 보여드립니다.

◀ 리포트 ▶

구글이 만든 AI 모델 '제미나이'에 한국 동쪽 바다의 이름이 뭐냐고 물었습니다.

한국어로 물으면 '동해'라 하는데, 영어로 물으면 '일본해'라 답합니다.

다음은 오픈AI의 챗GPT.

한반도 지도를 그려달라고 주문하자 완전히 엉터리 이미지를 내놓습니다.

북한을 'North-South Korea'로, 동해는 'Sea of Japan'으로 표기하고 한국의 중앙에 '평양'이 있다고 해놨습니다.

AI가 내놓는 답이 이런 건 학습 데이터 때문입니다.

생성형 AI는 대부분 영어로 된 데이터를 학습하는데, 영어권 국가의 관점이 반영되거나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술의 독점이 의식의 독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최근 [AI주권]이란 개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나라의 언어와 돈, 데이터를 활용해 독립적으로 AI 기술을 개발·운용해야 한다는 겁니다.

[젠슨 황/엔비디아 CEO (지난 2월, 월드거버먼트 서밋)]
"모든 국가들은 자신만의 인공지능이 필요합니다. AI 주권이라는 용어가 나온 이유입니다."

비영어권 국가들은 정부가 AI전담 기구를 세울 정도로 투자에 적극적입니다.

한국은 일단 기업이 주도하는 모양샙니다.

한국어 검색과 학습에 특화된 네이버는 자체 모델로 사우디에 진출하는가 하면, LG는 자체 AI모델을 공개해 집단 지성으로 AI 생태계를 구축하자는 제안을 내놓았습니다.

KT와 SKT는 기술 격차를 빠르게 인정하고, 해외 기업과 함께 한국형 AI를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김영섭/KT 대표]
"자체 개발 기술에만 의존하는 것은 다소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협업은 매우 중요합니다."

정부는 최근 65조 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통해 AI 3대 강국을 만들겠다는 '물리적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일단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돈·전기·인재 등 자원을 섬세하게 배분하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그리는 게 물량공세만큼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MBC뉴스 정동욱입니다.

영상편집 : 이유승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편집 : 이유승 정동욱 기자(dwjung@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