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에 발탁돼 나란히 '젊은 피' 돌풍…2002년 대선 기점으로 엇갈린 행보
친명계 金, '두 국가론' 任에 "김정은 동조" 직격…86그룹 분화 촉매될까
민주당이 본 추석 민심은? |
공천 관련 기자회견 하는 임종석 전 비서실장 |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기자 = '운동권의 아이돌'로 불리며 86(80년대 학번·1960년대생 학생운동권) 그룹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했던 더불어민주당 김민석(60) 최고위원과 임종석(58)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22일 정면으로 충돌했다.
김 최고위원이 최근 임 전 비서실장의 "통일하지 말자. 두 개의 국가를 수용하자"는 주장을 겨냥해 "김대중(DJ) 전 대통령이라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동조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직격하면서다.
두 사람은 모두 학생 운동권 출신으로 DJ에게 전격 발탁돼 정계에 입문하는 등 거의 비슷한 코스를 밟았다.
서울대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인지도를 쌓은 김 최고위원은 김 전 대통령의 전폭적 지지 속에 불과 28세 때 14대 국회의원 선거에 나가 석패했으나, 4년 후 15대 총선에 승리하며 화려하게 여의도에 입성했다.
2000년 16대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한 김 최고위원은 2002년 38세로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에 선출되며 커리어의 정점을 찍었다.
임 전 실장의 경우 1989년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3기 의장을 맡아 임수경 전 의원의 '평양 축전참가'를 진두지휘, 우리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며 운동권의 '스타'로 떠올랐다.
2000년에는 김 전 대통령의 '젊은 피 수혈론'에 힘입어 새천년민주당에 영입돼 16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됐다.
15대 총선 최연소 당선자는 김 최고위원(32세), 16대 총선 최연소 당선자는 임 전 실장(34세)일 정도로 두 사람은 닮은꼴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2002년 대선의 노무현-정몽준 후보 간 단일화 국면에서 김 최고위원이 정 후보 측 '국민통합21'로 이적하면서 두 사람은 정치 행로를 달리하게 됐다.
당시 임 전 실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김 최고위원에 대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민의를 배반하는 철새 정치인"이라며 '변절자'로 규정했다.
이후 김 최고위원은 이른바 '후단협(후보단일화협의회) 사태'로 민주당 지지층의 역풍을 맞게 되면서 지지기반을 사실상 상실했다.
2008년 최고위원으로 선출되며 부활하는 듯했지만 2010년 정치자금법 위반 유죄 확정 판결로 5년간 피선거권이 제한되는 등 험로를 걸었다.
이후 새정치민주연합이 창당되자 당을 떠나 '마포민주당'으로 불린 원외 정당을 만든 김 최고위원은 2016년 이 당이 민주당과 합당하며 '고향'에 돌아왔다.
먼 길을 돌아온 김 최고위원과 달리 임 전 실장은 2004년 17대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했고, 2008년 18대 총선에서는 낙선하긴 했지만 2012년에는 당 사무총장을 맡는 등 민주당 계열에서 줄곧 주류로 활동했다.
2017년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첫 비서실장으로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장을 맡는 등 전 정부의 대북정책을 상징하는 인물로 부상하기도 했다.
7년여가 지난 현재 둘의 위치는 또 한 번 크게 달라진 모습이다.
임 전 실장은 지난 4월 총선에서 공천받지 못해 원외에 머무르는 반면, 김 최고위원은 최근 두 차례 총선에서 연이어 당선된 데 이어 8월 전당대회에서 수석 최고위원으로 선출되며 이재명 대표의 최측근으로 입지를 굳혔다.
일각에서는 김 최고위원이 이날 임 전 실장을 공개적으로 비판한 데는 이 같은 두 사람의 입장 차이도 영향을 줬으리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임 전 실장이 전 정부 대북정책을 주도한 경험을 살려 남북 관계의 '근본적 전환'을 화두로 던질 수 있는 입장이라면, 김 최고위원은 이런 담론이 민주당과 이재명 지도부에 끼칠 영향을 우선 고려해야 하는 처지라는 것이다.
이번 논쟁을 계기로 86그룹 사이에 분화가 촉발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그동안 당내에서는 86그룹이 자체적으로 정치적 동력을 만들기 쉽지 않은 여건이 됐다며 하나의 정치그룹으로서의 의미를 사실상 상실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진영 내 가장 민감한 이슈인 대북정책을 놓고 이들이 이견을 표출하면서, 이번 논쟁이 86그룹 내부 노선투쟁이나 지형 재편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hysup@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