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청량벽해' 훈풍 부는 청량리…서울 동북권까지 온기 확산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역세권 개발로 이른바 ‘청량벽해’를 경험한 청량리 일대 신축 단지에 훈풍이 불고 있다. 이러한 열기는 동대문구, 중랑구, 노원구 등 주변 지역으로 퍼지면서 거래량을 끌어올리고, 개발에도 활력을 불어넣는 분위기다.

2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청량리 일대는 신축 주상복합 단지를 필두로 한 가격 오름세가 뚜렷한 모습이다. 동대문구 전농동에 있는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전용면적 84㎡는 올해 2월 18억7930만 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9월만 해도 11억 원대에 거래됐으나, 반년 새 7억 원 이상 웃돈이 붙었다.

이웃한 용두동 ‘청량리역 한양수자인 그라시엘’도 신고가를 최근 경신했다. 이 단지 전용 84㎡는 올해 8월 16억3000만 원에 거래됐다. 2019년 당시 10억 원대에 분양한 단지로, 올해 6월 진행한 무순위 청약에서 1가구 모집에 4만5000여 명의 청약자를 모으기도 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청량리역은 이미 6개 노선이 정차하고, 앞으로 GTX-B·C와 면목선, 강북횡단선까지 연결될 서울의 핵심 교통 허브로 조성된다"며 "여기에 고밀복합개발을 유도해 업무·산업의 핵심 거점으로도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청량리 일대가 새 옷으로 갈아입으면서 인근 지역인 중랑구와 노원구까지 훈풍이 부는 모양새다. 이들 지역은 서울 내에서도 저평가 됐던 만큼, 개발 소식이 이어지면서 가격도 상승하고 있다.

부동산 R114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중랑구의 3.3㎡당 아파트값은 1630만1000원에서 2177만7000원으로 33.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송파구 상승률 18.8%와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오른 셈이다. 노원구 역시 5년간 아파트값이 30.1% 상승했고, 동대문구도 22.7%로 송파구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아파트 거래도 활발해졌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청량리역(동대문구), 상봉역(중랑구), 광운대역(노원구)이 자리한 3개 구에서는 올해 2분기 총 2191건의 아파트 매매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1261건 대비 73.7% 급증했다.

특히 청량리역에서 지하철 3~4정거장 거리에 위치한 상봉·망우 일대 개발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이곳에도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상봉·망우 일대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노선이 정차하는 동시에, 기존 노선과의 네트워크 효과가 뛰어나단 점에서 청량리와 비슷하다.

초고층 주상복합에 수요가 쏠리는 점도 청량리와 비슷하다. ‘상봉 프레미어스 엠코’ 전용 111㎡는 7월에 12억7000만 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10월 10억7000만 원에 거래된 타입으로, 1년도 되지 않아 2억 원가량 상승한 것이다.

역세권 주변으로 전개되는 다수의 개발사업도 기대를 더한다. 대표적인 곳이 상봉9재정비촉진구역이다. 38년간 상봉터미널을 운영해 온 신아주그룹이 시행을 맡아 해당 부지를 초고층 랜드마크로 재개발한다. 시공은 포스코이앤씨가 맡았고, 지하 8층~지상 49층, 연면적 29만1688㎡ 규모의 주상복합 5개 동이 들어선다.

상봉·망우역 일대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교통 호재도 급물살을 탔다. GTX-B는 실착공 초읽기에 들어갔다. 7월에는 국토부가 민자구간 실시계획을 승인했으며, 사업 시행사인 대우건설 컨소시엄은 하반기 중 착공계를 내고 실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권 팀장은 “최근 부동산 시장의 연쇄적 파급효과는 단순한 인접지가 아니라, 교통망을 따라 이동하며 교통 허브 일대에서 발현되는 경향을 보인다”라며 “다중환승역으로서 역세권 개발의 공통점이 있는 청량리(동대문), 상봉·망우(중랑), 광운대(노원) 등은 함께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투데이/한진리 기자 (truth@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