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2 (토)

트럼프 구하기 나선 이 남자?…美 대선 앞두고 관심끌기 몸부림, 통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정은, 北核 핵심시설 방문
“무기급 핵물질 생산 강화를”
남한겨냥 전술핵역량도 강조

美대선마다 핵무력과시 전례
트럼프지원 선거개입 의중도
전문가 “7차 핵실험 가능성”
용산 “한미당국 긴밀히 추적”


매일경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신형 600㎜ 방사포차 성능검증을 위한 시험사격을 참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3일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13일 핵개발 프로그램의 핵심인 고농축 우라늄(HEU) 생산시설을 처음으로 공개하며 미국과 한국을 향한 핵위협 수위를 끌어올렸다.

50여 일 앞으로 다가온 미국 대선에 충격파를 일으켜 향후 대미 협상에서 몸값을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이날 노동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핵무기연구소와 무기급 핵물질 생산기지를 현지 지도하고 생산 확대를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북측은 보도에서 김 위원장이 우라늄 원심분리기 등 핵심 장비들을 둘러보며 운영 실태를 보고받는 사진도 여러 장 공개했다.

시설 위치는 밝히지 않았으나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평양 인근 강선에 위치한 생산시설을 방문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정말 이곳은 보기만 해도 힘이 난다”며 만족감을 표시했다고 노동신문이 전했다. 그는 △원심분리기 대수 확대 △개별 원심분리기의 분리 능력 개선 △신형 원심분리기 도입사업 등을 강조하며 “무기급 핵물질 생산 토대를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문은 또 김 위원장이 HEU 시설은 물론 핵무기 생산능력 확장을 위한 공사 현장도 돌아보며 내부 장비 설치계획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미국의 핵 위협’을 거론하며 자신들의 핵무력 증강 계획을 정당화했다. 그는 “최근에도 미제(미 제국주의)를 괴수로 하는 추종 세력들이 공화국을 반대해 감행하는 핵 위협 책동들은 더욱 노골화되고 위험한계를 넘어서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미가 군사동맹을 ‘핵 기반 동맹’으로 격상하고 양국 핵억제·핵작전 지침이 명문화하며 대북 확장억제력을 강화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경계심과 불만을 표시한 셈이다.

김 위원장은 “전술핵무기 제작에 필요한 핵물질 생산에서 보다 높은 전망 목표를 내세우고 총력을 집중해 새로운 비약적 성과를 안아오라”고 다그쳤다. 한국의 수도권과 주요 공군기지, 주한미군 시설를 겨눈 전술핵 역량을 키워 한미 확장억제력에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통일부는 즉각 “북한의 불법적인 핵무기 개발은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자, 한반도와 세계 평화에 심각한 위협”이라고 규탄했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어떠한 경우에도 우리와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 보유를 절대 용인하지 않을 것임을 북한도 분명히 인식해야 할 것”이라며 강조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010년 미국의 핵물리학자인 지그프리드 해커 박사를 평안북도 영변 핵단지로 초청해 HEU 시설을 보여줬다. 그러나 이번처럼 핵개발의 ‘심장’ 격인 이 시설을 관영매체를 통해 사진까지 공개한 것은 유례없는 행보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은 HEU시설을 미국 대선 TV토론 이틀 후에 전격 공개했다”면서 “대선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대미 메시지로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홍 연구위원은 “북한으로서는 TV토론 결과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불리하게 됨에 따라 대선까지 남은 약 50일 간 핵무기 고도화를 자신들에게 유리한 쟁점으로 부각시키는 효과를 염두에 뒀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화에 보다 열려있는 트럼프 후보를 측면 지원하는 효과를 기대했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북한으로서는 이를 통해 자신들의 핵 역량을 과시하고 7차 핵실험 가능성을 열어 미국 민주·공화당 대선캠프의 시선을 끌어오려는 의도를 가졌을 가능성도 있다.

북한은 과거 미국 대선 국면에서도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을 수 차례 강행해 선거개입 시도를 펼쳤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이 대미 압박용으로 (HEU 시설 공개로) 7차 핵실험 가능성을 예고했다”고 평가했다. 양 교수는 “북한이 중국의 반대 등으로 (핵실험이)여의치 않더라도 단계적으로 핵능력을 과시하고 위협 수위를 높여 미국 대선에 개입하려는 의도를 노골화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내달 10일 노동당 창건일 등 정치 일정을 계기로 7차 핵실험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온다.

북핵 전문가인 이춘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초빙전문위원은 “북한은 오래 전부터 7차 핵실험 준비를 마쳐놓고 있다”면서 “계절도 핵실험에 적절한 상황이라 실제로 핵버튼을 누를 개연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날 북한이 공개한 HEU 생산용 원심분리기 사진을 살펴보면 기존에 파키스탄에서 도입했던 ‘P2’모델보다 개량·진전된 장비로 추정된다. 북한이 ‘P2’ 원심분리기를 기반으로 성능을 개량해 자체적인 제작 기술을 확보했을 개연성도 있다.

이춘근 위원은 “북한이 해커 박사에게 ‘P2’형을 공개한 지 벌써 15년이 지났다”면서 “북한이 탄소섬유 기술을 활용해 개량된 원심분리기를 만들어 우라늄 농축 효율을 몇 배로 늘렸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이날 “핵실험 시기는 북한 지도부의 결심에 따라 달라질수 있기 때문에 단정적으로 예단하는 데 제한이 있다”며 “(북한이)미국 대선 등 대내외 정세를 포함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시기를 저울질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관계자는 “모든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한미 정보당국이 긴밀히 추적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군 당국과 국책연구기관에서는 앞서 북한이 현재 보유 중인 핵무기가 90여 발에 이르며 2030년까지 이 수치가 160여 발로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한국국방연구원(KIDA)의 이상규·박용한 연구위원은 지난해 ‘북한의 핵탄두 수량 추계와 전망’ 보고서를 통해 당시까지 북한이 생산한 HEU는 약 2044kg, 플루토늄은 68~72kg으로 추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