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8 (수)

과학기술 고등교육 체제 개편의 필요성과 발전 방향[기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오랜 역사를 지닌 대한민국의 대표 공과대학 중 하나로, 그동안 수많은 과학기술 인재를 배출해 왔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과학기술 분야의 국제 경쟁력 강화와 연구 역량의 확대를 위해 더 큰 변화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 도래했다. 그 변화의 중심에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를 '서울과학기술원'으로 개편하는 것이 있으며, 이는 단순한 학교 명칭 변경을 넘어 국가 발전을 견인할 중요한 선택이 될 것이다.

필자는 서울과학고 교사 등 교육 경력 20년을 보유한 교육 전문가로, 대학원에서 고등교육을 전공했으며 의미 있는 고등교육 성공 사례들을 연구해왔다. 그 중에서도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사례는 서울과학기술원이 될 경우 얻을 수 있는 변화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UNIST는 설립된 지 불과 몇 년 만에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를 이뤄내며, 2023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197위에 올랐다. 2023년 기준으로 UNIST의 연구비 수주액은 2,900억 원에 달해 국내외 연구 기관들과 활발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연구비 수주액이 800억 원에 그치고 있으며,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500위권 밖에 머물러 있다. 이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가 과학기술원으로 변모해 더 큰 도약을 이뤄야 함을 강력히 시사하는 지표이다.

서울과학기술원이 되면 독립적인 연구비 운영과 연구 지원 확대를 통해 대학의 연구 역량이 대폭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과학기술원으로 개편될 경우 더 많은 국책 연구 과제를 수주하고, 대규모 산학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국가 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대학의 위상 강화를 넘어서, 대한민국의 미래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에 중대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서울과학기술원은 기존의 과학기술원과 차별화된 특색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다. 인문, 사회과학, 예술문화, 체육 등 비이공계 학과들의 특성을 잘 살려 새로운 융합 학과를 개설함으로써 학문 간 경계를 허물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융합 교육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고, 이를 통해 서울과학기술원은 차별화된 학문적 접근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교육 및 연구 방안을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단지 대학 교육의 질적 향상에 그치지 않고, 국가적으로도 다학문적 협력과 융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서울과학기술원이 된다는 것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교육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연구 역량 강화뿐 아니라 국가 전략적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큰 기회를 제공하며, 서울과학기술대학교가 세계적 수준의 교육 및 연구 기관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할 것이다. 국제 사회에서 대한민국이 과학기술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고 선도하기 위해서라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서울과학기술원으로의 개편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다.

따라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과학기술원 전환은 지금 결단을 내려야 할 때다. 이 변화는 단순히 학교의 명칭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며, 국가적 차원에서 강력한 지원이 필요하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가 서울과학기술원으로 재탄생하게 된다면, 이는 국내외에서 경쟁력 있는 교육 및 연구기관으로 자리 잡을 것이며, 미래 세대를 이끌어 나갈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 양성의 중심이 될 것이다.

머니투데이



김선규 노원발전네트워크 대표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