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용구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연구위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가 예상보다는 더 빠를 것으로 전망된다. 고용 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점차 균형으로 이동하는 가운데 이민자 관련 정책 변경, 데이터 사후 수정 등이 겹치면서 지표는 실물 경제보다 더 빠르게 나빠지는 것처럼 보이고 있다.
소비도 둔화가 점쳐진다. 초과 저축은 연초 소진된 것으로 추정되고 고금리 장기화 여파로 임금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으며, 신용카드와 대출의 연체율 역시 높아지고 있다. 공급관리자협회(ISM) 서베이 지수 등 심리 지표 역시 뚜렷하게 악화돼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물가는 안정을 찾고 있다. 소비자물가지수(CPI)나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등 인플레이션 관련 지표는 목표치인 2%에 도달하진 못했지만 금리 인하를 시작하기 충분한 레벨까지 낮아졌다. 국제 에너지 가격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주거비는 집값과 시차를 두고 낮아지고 있고, 자동차 등 소비 관련 둔화도 물가에 반영되고 있다. 연준이 연내 남은 세 차례 회의에서 모두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러나 이내 금융시장이 안정을 되찾자 일본 은행은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일본의 기준금리는 최종 0.75% 또는 1.0% 수준까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비해 한국은행은 선진국 대비 물가 안정을 비교적 빠르게 달성했다. 다만 금리를 덜 올린 만큼 선제적 또는 연속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여력도 크지 않다. 또 호주와 마찬가지로 가계부채와 수도권 부동산시장 과열 이라는 고질적인 문제는 통화정책 운용의 제약요인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금융안정 측면의 논거 중에서 환율이 안정세를 보이고, 정부 주도의 거시건전성 대책이 시행되면서 금리 인하가 가능한 명분과 분위기가 확보되고 있다. 결국 연내 한 차례 금리 인하는 이뤄질 것으로 보이지만 금번 인하 사이클은 얕고 느린, 완만한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한다.
이정훈 기자 enough@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