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
국민의힘 소속 30·40세대 중심 공부모임인 첫목회가 5일 연 응급의료 긴급진단 토론회에서 의사 출신 박은식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이 발제를 하고 있다./사진=박상곤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 소속 30·40 세대 인사들의 공부모임 첫목회가 의료공백 사태와 관련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을 작심 비판했다. 첫목회 회원인 박은식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은 박 차관을 경질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첫목회는 5일 저녁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응급의료 긴급진단' 토론회를 열고 최근 의료 공백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응급의료 현장에서 빚어지는 혼란과 이를 최소화할 방안 및 의정 갈등 중재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을 향해 비판이 쏟아졌다. 당초 박 차관은 이날 토론회 발제자로 나설 예정이었으나 전날인 4일 첫목회 회원인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에게 불참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위원은 "의사 입장에서 비급여진료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낮은 수가 때문"이라며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보면 환자 본인 부담은 900원이 나오는데 서울 강남에서 주차하는 비용보다 싸다"고 했다. 이어 "필수 의료를 이탈하는 이유는 '하이리스크, 로우리턴'(High risk, Law return, 위험도가 높고 법적책임마저 돌아온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의료 과실에 대한 기소율이 일본의 약 265배, 영국의 약 800배"라고 했다.
또 박 전 위원은 "의료계가 직역 이기주의를 갖고 의대 정원 증원을 끝까지 막겠다는 게 아니다. 의대 증원과 관련한 목소리는 의료계 내부에서도 있었다"며 "정부가 이런 주장에 귀를 기울였다면 첫목회가 결성되지 않았을 거다. (지난 4·10 총선에서) 많이들 당선됐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5일 저녁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첫목회, 응급의료 긴급진단' 토론회에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 자리가 비어있다./사진=박상곤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토론회 진행을 맡은 이재영 국민의힘 서울 강동을 당협위원장은 "박 차관이 어제까지만 해도 이 자리에 오기로했다가 급하게 안 온다 통보받았다"며 "이 부분에 대해선 박 차관에 실망이고 유감"이라고 했다.
박 차관으로부터 불참을 통보받은 김 의원은 이날 오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이것이 의정갈등을 풀어내는 정부의 태도냐"며 "여당 소속 의원과 당협위원장들을 만나 토론하고 설득할 용기도 없으면서 무슨 수로 국민을 설득하냐"고 비판했다. 이어 "의료개혁은 꼭 필요하고 시급하다"면서도 "그러나 국민의 생명보다 중요한 개혁의 명분은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만큼이나 과정도 중요하다"고 했다.
첫목회 회원인 박상수 국민의힘 대변인도 박 차관을 향해 "여당 의원도, 여당 당협위원장들도, 응급의사회장 등 의사들도 다 내팽개치고 그 시간 어디서 무엇을 할 생각이냐"며 "이게 도대체 무슨 경우냐"고 했다.
이형민 대한응급의사회장이 5일 국민의힘 30·40 공부모임 첫목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연 응급의료 긴급진단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박상곤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발제에 나선 이형민 대한응급의사회장은 "의료 개혁은 완수하는 것이 아닌 지속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전공의 복귀와 의료개혁, 의료 위기를 분리해야 하고 현재 위기와 정책 실패를 인정해야 한다"며 "과거 평균 수치를 볼 때 추석 연휴에 1만명이 제대로 진료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최대한 빨리 비상 진료체계가 아닌 정상 진료체계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의료계와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이 회장은 "의료계와 관계 회복을 위한 첫 단추는 (의료계의) 사법 리스크 감소와 전문성에 대한 인정과 신뢰"라며 "현장 의료진은 전의를 상실했고 국민들은 불안해하고 있으며 환자는 죽어가고 있다. 정치적 유불리에 의료를 이용하지 말라"고 했다.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