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2 (목)

화재 예방기능 없는 완속충전기 32만개, 신제품 교체 어쩌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PLC 모뎀 통해 충전율 제어

신제품 보급 40만원씩 지원금

기존 제품에는 추가 불가능

긴급예산 지원·규제개선 필요

전기차 안전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면서 정부가 화재 예방 기능을 내장한 완속 충전기 보급을 추진하고 있으나 종래에 설치된 32만개의 완속 충전기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완속 충전기를 개조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새로운 충전기로 교체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비용과 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긴급 예산과 규제 개선 등 적극 행정을 보여야 할 때라고 조언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12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고정형 전기차 충전기에 운영 중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일 환경부는 올해 전력선통신(PLC) 모뎀이 장착된 화재 예방 완속 충전기를 보급하는 사업을 시작했으나 기존 완속 충전기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지 않고 있다.

화재 예방 완속 충전기란 전기차 충전 시 PLC 모뎀을 이용해 충전기와 차량이 서로 통신하면서 충전율을 제어할 수 있는 충전기를 말한다. 종래에 보급된 완속 충전기에는 이 기능이 없어 충전 포트를 전기차에 꽂아놓으면 계속 전류가 흐르며 과충전 상태에 이를 수 있다. 배터리가 과충전되면 화재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이달 초 인천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벤츠 전기차 화재 이후 화재 예방 기능이 있는 완속 충전기의 필요성이 부각된 상태다. 환경부는 이에 PLC 모뎀이 장착된 화재 예방 충전기 보급을 위해 4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의 화재 예방 충전기 보급은 신규 설치에 한한다. 기존 충전기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나와 있지 않다. 환경부 관계자는 "기존 완속 충전기에 대해서는 향후 대책을 발표하겠다"고만 말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전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는 36만8056대이며 이중 완속 충전기는 32만5538대로 전체의 88.4%를 차지한다. 공동주택에는 24만5435대의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됐는데, 이 가운데 98.3%가 완속 충전기다.

충전기 업계에 따르면 기존 완속 충전기에 PLC 모뎀을 추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새로운 충전기로 교체해야 한다. 충전기 업체 관계자는 "기존 완속 충전기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는 모뎀만 추가하는 것으로는 불가능하다"며 "메인 보드를 교체하고 펌웨어와 사용자인터페이스(UI) 등 소프트웨어까지 전부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실상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능이 완전히 바뀐 만큼 정부의 인증도 새로 받아야 한다. 최소 수백억 원의 비용이 필요한 사업이다.

전문가들은 현재는 국민들이 전기차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는 시기인 만큼 정부의 과감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예산을 들여서 기존 완속 충전기를 교체하고 필요할 경우 인증 절차도 완화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전기차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충전율을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는 기존 완속 충전기에 화재 예방 기능을 추가 적용하도록 긴급 예산을 편성하고 규제 샌드박스 등을 통해 형식 승인 절차도 완화하는 등 적극 행정이 필요한 때"라고 지적했다.

기업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롯데이노베이트의 자회사인 이브이시스(EVSIS)는 지난 14일 PLC 모뎀을 내장한 완속 충전기 시험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관계자는 "수 개월간 환경부와 협의를 통해 7월 완속 충전기에 대해 화재예방기능시험 인증 사업을 시작했다"며 "현재까지 4건이 인증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