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0 (목)

강남권서 시작된 아파트 매매 열기 양천·강북까지 확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달아오르는 서울 주택 시장

7월 거래량 3년여 만에 최다 전망

강남 3구 이어 ‘노도강’ 거래 급증

가격 치솟아 ‘상승거래’ 절반 넘어

“하반기 수도권 전역으로 번질 듯”

“정부‘8·8대책’ 집값 영향 적을 듯

상승세 전국 번질 가능성은 낮아”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를 중심으로 촉발된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 열기가 비강남권으로도 옮겨붙고 있다. 지방은 미분양 물량 적체가 심화하는 것과 달리 서울은 인접 경기권으로까지 가격 상승세가 퍼져나가는 양상이다. 시장에선 정부의 ‘8·8 주택대책’이 아파트 쏠림 현상과 공급 부족 우려 등으로 시작된 매수세를 얼마나 달랠 수 있을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2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까지 신고된 7월 서울 아파트 계약 건수는 6912건(계약일 기준)에 달한다.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인데도 벌써 전월 거래량(7450건)의 92.8%에 도달했다.

세계일보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바라본 강남구 아파트 단지 모습.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추세라면 7월 거래량은 6월 거래량을 넘어 2020년 12월(7745건) 이후 3년 7개월 만에 최다를 기록할 전망이다. 2020년 12월 거래량도 넘어선다면 2020년 7월(1만1170건) 이후 4년 만에 최다가 된다.

최근에는 강남 3구뿐 아니라 양천구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강북권도 거래가 늘어나는 모습이다. 양천구의 경우 7월 거래량이 이날 기준 388건으로 집계돼 이미 6월 거래량(267건)을 훌쩍 넘어섰다. 또 노원구(560건), 강북구(118건), 동작구(381건), 도봉구(190건) 등도 현재까지 7월 신고 건수가 6월 거래량을 뛰어넘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서울은 이미 (상승) 분위기가 퍼졌고, 하반기에는 수도권 전역으로 퍼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매매가 오름세 역시 점차 확산하는 분위기다.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계약 가운데 51.7%는 종전 거래가격과 비교해 가격이 오른 ‘상승 거래’였다. 직방은 동일 단지·면적에서 1년 이내 이뤄진 직전 거래에 비해 가격이 1% 이상 오른 거래를 상승 거래로 분류했다.

서울 내에서 상승거래 비중이 50%를 넘어선 자치구는 지난 5월 4곳에서 6월 14곳, 지난달 17곳 등으로 늘며 서울 전역으로 오름세가 확산하는 분위기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 지역은 지난달 상승거래 비중이 46%를 차지했다. 경기권에서 상승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곳은 6월 4곳에서 7월 9곳으로 늘었다.

전문가들은 인기 지역에서 촉발된 상승세가 서울 인접 지역으로까지 확산하는 양상이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면서도 단기간에 수도권을 넘어 전국 주택 시장으로까지 번질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수도권 안에서 서울과 인접해 있거나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에 한해 국지적 (상승) 양상이 번질 것”이라며 “전체적인 확산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짚었다.

이에 시장의 관심은 비아파트 공급 확대 및 정비사업 속도 제고 등을 담은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방안이 서울 집값 상승세에 미칠 영향에 모이고 있다. 업계에선 아파트로 쏠린 수요가 비아파트로 움직이면서 상승 폭이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과 여전히 아파트 선호 현상이 강한 만큼 이른 시일 내 큰 영향은 없을 것이란 관측이 공존한다.

김 랩장은 “비아파트 시장이 살아나서 단기간 내에 주택공급과 거래가 활성화될 수는 있긴 하지만,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를 꺾기에는 아직은 역부족”이라며 “(이번 대책으로) 수요를 전반적으로 흡수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 수석연구원은 “상승 폭을 둔화시키는 효과는 있을 것”이라며 “비아파트 시장을 활성화해서 아파트 시장 쪽을 잠잠하게 만드는 전략은 굉장히 유효한 방식”이라고 평가했다.

이강진 기자 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