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 핵심관계자는 11일 통화에서 “김 전 지사 복권 반대는 한 대표가 법무부 장관 시절부터 지녔던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 대표가 이런 생각을 갖게 된 데는 사면 결정 이후 김 전 지사가 보인 태도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김 전 지사는 2022년 말 당시 자신의 사면 소식에 “나는 가석방을 원하지 않는다”며 ‘가석방 불원서’를 쓴 데 이어, 석방 땐 “받고 싶지 않은 선물을 억지로 받은 셈”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한 대표가 최근 밝힌 반대 명분도 이와 다르지 않다. 그는 9일 친한계 핵심 인사가 모인 텔레그램 단체방엔 “민주주의 파괴 범죄를 저지르고도 반성하지도 않은 사람에게 정치하라고 복권해 주는 것에 공감하지 못할 국민이 많을 것”이란 취지의 메시지를 올려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또 “사면 복권이 정치 공학적으로 이용된 것으로 국민께 보여선 안 된다. 이런 문제에 정치적 계산이 있다는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재차 올렸다고 한다.
한 대표의 김 전 지사 복권 반대엔 이런 신념들 외에 자신에 대한 여권 일각의 정체성 공세를 불식시키고 보수 진영 정치인로서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의도가 반영돼 있다는 분석이 정치권에선 나온다. 지난달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당시 한 대표는 친윤계 등으로부터 “진중권ㆍ김경율 등 좌파 출신 인사들과 소통한다”며 정체성 공격을 받아왔다. 하지만 한 대표의 복권 반대 의사가 전해지자 국민의힘 당원게시판 등지에선 외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비판 글이 연달아 게시되고 있다.
2022년 12월 8일 당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복권 없는 사면이 이뤄져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창원교도소를 나와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송봉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 권력’과 ‘미래 권력’ 충돌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이들도 있다. 윤 대통령이 복권이란 고도의 정치적 행위를 통해 정국 주도권을 쥐려고 하자 친한계가 위협을 느낀 것이란 해석이다. 익명을 원한 친한계 인사는 중앙일보에 “김 전 지사가 차기 대선 구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생각은 하지 않는다”면서도 “이번 국면을 통해 대통령이 직접 정치에 나서면 판이 흔들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 자체가 아주 큰 위협”이라고 말했다.
친한계는 김 전 지사의 복권을 두고 당과 사전협의가 없었다는 점에 대해서도 불쾌감을 표시하고 있다. 실제로 한 대표는 법무부 사면심사위 결과가 알려지기 전까지 김 전 지사 복권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 이에 한 대표는 관련 보도가 나온 8일 밤 이후 여러 경로를 통해 대통령실에 복권 반대 의사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친윤계에선 “반대 입장을 물밑에서 조율하지 않고 외부에 흘러나오게 했다”며 한 대표의 정치력을 문제 삼는다. 대구ㆍ경북의 친윤 의원은 “김경수 한명을 복권하며 원세훈ㆍ조윤선ㆍ현기환 등 보수 인사 여럿을 복권할 수 있다는 점을 친한계가 간과하고 있다”며 “한 대표의 반대 입장이 공개되면서 역설적으로 윤 대통령은 김 전 지사를 복권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꼬집었다.
확전 양상을 보이자 국민의힘에선 ‘윤ㆍ한 갈등’ 재발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영남 중진 의원은 “당ㆍ정간 생각이 다를 때마다 이견이 외부로 노출되고 있다”며 “여소야대 정국에서 여권 분열의 불씨가 될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윤상현 의원은 10일 자신의 SNS에 “(김 전 지사 복권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면서도 “진영을 넘어 국민통합과 협치를 위한 대통령의 더 큰 생각과 의지가 있을 것이다. 지금은 대통령의 그 생각을 믿고 기다릴 때”라고 적었다.
김기정·이창훈 기자 kim.kijeong@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