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사무실 30도인데…" 폭염엔 실내 노동자도 위험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휴식 주지 않고 에어컨 꺼버리기도…노동부 지침은 권고 그쳐

온열질환자 중 실내 발생 21%…"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돼야"

연합뉴스

폭염 대비 노동자 대책마련 촉구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공공운수노조 전국물류센터지부 조합원들이 2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폭염시기 물류센터 '온도감시단' 활동 및 물류노동자 폭염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7.2 jin90@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율립 기자 = "대표가 비용을 아끼겠다고 에어컨을 꺼버렸어요. 한 사무실에 30명 정도 있는데 아침부터 땀을 뻘뻘 흘리고 있어요."

지난 9일 서울의 한 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류모(25)씨는 이같이 말하며 울상을 지었다.

류씨는 "직원들 책상에는 탁상용 선풍기가 필수품"이라며 "직원들끼리 선풍기 전기세가 에어컨보다 더 나오겠다고 얘기한다"며 허탈하게 웃었다.

체감온도가 35도 안팎을 넘나드는 폭염이 연일 계속되는 가운데 무더위를 직격으로 맞는 야외 노동자 못지않게 실내 노동자들도 힘겨움을 호소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566조는 근로자가 폭염으로 열사병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사업주가 적절하게 휴식하도록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2022년 8월 개정됐다.

고용노동부는 이에 따라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를 통해 예방 수칙을 배포하고 있다.

여기에는 야외 작업자와 마찬가지로 실내 작업자 역시 폭염특보 발령 시 10∼15분 이상 규칙적으로 쉴 것, 실내 작업장의 경우 에어컨과 선풍기 등 냉방장치를 설치하거나 주기적으로 환기할 것 등의 내용이 담겼다.

그러나 이는 권고 사항에 그쳐 실제 사업장에 적용되는 사례는 많지 않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연합뉴스

실내 온도 30도를 넘긴 사무실 온도계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실내 노동자들은 사업주나 관리자 등이 에너지 절약, 전기요금 절감 등을 이유로 에어컨을 짧은 시간만 가동하거나 아예 꺼버려 근무에도 지장이 생길 정도라고 했다.

경기 북부의 한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40대 공무원 A씨는 "오후 2∼4시 또는 1∼4시만 에어컨을 가동하고 있다"며 "실내 온도는 이미 오전에 30도를 넘어서고 직원들은 두통을 호소한다. 에너지는 절약해야겠지만 지금은 기관 차원에서 직원들을 괴롭히고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름철 실내 온도 28도'만이라도 준수해주길 바랄 뿐"이라며 "내부적으로 아무리 요청을 해봐도 소용이 없다. 우리에게 가장 힘든 건 민원보다 회사"라고 토로했다.

쉴 새 없이 몸을 움직여야 하는 물류센터 노동자들은 더욱 열악한 처지다.

경기 여주시의 한 물류센터에서 4년째 물품 분류작업을 하고 있다는 정애숙(56)씨는 "며칠 전에도 오후 2시쯤 관리자에게 '실내 온도가 33도로 찍혔는데 쉬는 시간을 왜 주지 않느냐'고 물었더니 체감온도로 계산했을 때 약간 모자라서 쉬는 시간이 없다고 말했다"며 "어지러운데도 관리자들은 땡볕이 아니니깐 위험하지 않다고 한다"고 하소연했다.

정씨는 "여기는 창고라서 이동식 에어컨만 설치돼 있는데 그마저도 관리자 자리에만 있다"며 "열 피난처에 에어컨이 설치되긴 했지만 가서 쉬기도 쉽지 않을뿐더러 사람 수에 비해 공간이 턱없이 좁다"고 말했다.

여름철 적정 실내 온도는 26도가 권장된다. 공공기관은 일부 사정을 제외하고는 냉방설비 가동 시 실내 온도를 평균 28도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규정돼 있다.

연합뉴스

에어컨 없이는...
[연합뉴스 자료사진]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9일 발표된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5월 20일부터 이달 8일까지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2천77명,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19명이다.

이중 실내 작업장, 건물 등 실내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448명으로 전체의 21.6%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강재헌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온열질환은 주위 온도가 최소 30도 이상인 경우가 오래 지속될 때 발생할 수 있다"며 "야외는 물론 실내에서도 얼마든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의 경우 온도와 습도가 잘 관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업종별, 상황별로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진우 서울과학기술대 안전공학과 교수는 "워낙 다양한 변수 상황들이 있어서 강제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처벌 규정을 두지 않더라도 폭염 시 필요한 조치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는 작업장 지침이 다양하지 않다 보니 사업장도 현실적으로 지침을 지키기 어렵다"며 "사업주에게도 설득력 있도록 직종, 업종, 상황별로 세부적인 지침을 개발해 보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민현기 직장갑질119 노무사는 "전기요금을 아낀다거나 공공기관 성과 평가와 연관돼 에어컨을 틀어주지 않아 고충이 있다는 제보가 여름철이 되면 주기적으로 들어온다"며 "야외 노동자, 물류 노동자뿐만 아니라 사무직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여름철 작업) 관련 규정이 정비돼야 한다"고 말했다.

2yulrip@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