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대선후 美 정책 변화로
북한 핵 대응 새 지평 기대
전술핵재배치·나토식 핵공유
뭐가 됐든 신속한 조치필요
美핵잠 한반도 상시배치땐
북한엔 상당한 억제력 작용
북한 핵 대응 새 지평 기대
전술핵재배치·나토식 핵공유
뭐가 됐든 신속한 조치필요
美핵잠 한반도 상시배치땐
북한엔 상당한 억제력 작용
제1차 북한 핵위기 이후가 어느덧 30여년이 흘렀다. 그 사이 수많은 위기와 봉합이 점철하면서 한국과 국제사회는 북한 핵문제의 심각성에 무디어지는데 익숙해진 것 같다. 그나마 ‘오펜하이머’ 덕분에 영화 속에서나마 실감했던 핵폭발의 위력은 지난 30년의 어떤 핵협상의 실패보다도 북핵위기의 심각성을 일깨워준 경고라고 하겠다.
전술핵 재배치, NATO식 핵공유, 확장억제 등 생소한 용어들이 근자에 한미 양국에서 화두가 되고 있다는 것 자체가 한반도 안보환경의 심각성을 상징한다. 핵무장이나 전술핵 재배치에 일관되게 부정적 입장을 견지해온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11일 워싱톤 한·미정상회담에서 핵작전지침을 문서화해 재래식무기 전투력과 핵 전투력을 통합키로했다. 미국이 독자적으로 결정해왔던 핵무기 대응방식에서 한·미 양국이 함께 참여하는 확장억제(핵우산강화)로 진화하고 있다는 점은 다행한 일이다.
로저 위커 미상원의원(공화, 군사위간사)은 전술핵 배치와 인도·태평양지역에서의 핵공유협정 체결 필요성을, 크리스토퍼 밀러 전 국방장관 대행과 짐 리시 상원의원(공화, 외교위간사)이나 존 볼튼 전 국가안보보좌관은 전술핵무기 재배치를, 엘브리지 콜비 전 국방부 부차관보는 주한미군의 대 중국억제를 위한 임무전환을 위해서라도 한국의 핵무장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까지 언급했다.
핵무장한 북한을 핵없는 남한이 홀로 맞서야 하는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전술핵 재배치든 NATO식 핵공유든 무엇이든 신속하게 한반도에 배치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번 워싱턴 회의에서 어느 정도 깊이 있는 협의가 진행되었는 지는 발표되지 않고 있으나, 핵폭격기, 핵잠수함, 핵항모등 핵전략 자산의 한반도 수시 전개를 강화하는 것만으로는 광폭화되고 있는 북한핵의 수평적, 수직적 고도화에 맞대응할 수 없다는 것이 한국민의 일반적 정서일 것이다.
최근 미국은 한국안보를 위해 B-52H 전략폭격기, F-22 랩터 전투기, B-1B 랜서 초음속전폭기 그리고 핵항모의 수시 배치등을 통해 미국의 여타 동맹국들과는 차별적인 배려를 하여왔다. 그렇지만 한국민의 시각에서는 이러한 전례없는 조치도 일회성 이벤트로 비쳐질 수도 있어 좀 더 제도적인 붙박이 조치가 요구되고 있다. 러시아.북한의 군사협력강화와 미대선후 정세불안으로 더욱 그러하다.
전술핵재배치나 핵공유와 병행하여 토마호크 등 중거리 유도 핵미사일(SLCM)을 탑재한 미국 핵잠수함(SSN) 1척이상을 24시간 내내 한반도 주변의 즉시 대응가능 해역에 교대배치 시키는 방안도 한국측 우려를 불식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잠수함 특성상 북한 미사일이나 특수 작전의 표적이 될 수 없고, 미 본토로부터의 원거리 지원방식이 아닌 한반도 인근 해역 전진배치로 북한핵에 대한 상당한 억제력을 가질 것이다. 아울러 지난 11일 새무엘 퍼파로 인도태평양사령관이 일정한 전제하에 한국의 원자력추진 잠수함도입 추진 문제를 언급한 것은 비록 원론적 차원이긴 하지만 의미가 있다. 이번 미 대선을 계기로 세계 최고수준의 한국잠수함 건조 실력과 미국의 잠수함 운용 경험을 조화시켜 안보와 첨단 산업육성의 시너지 효과가 가시화되기를 기대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