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美 연준 선호 물가 5월 PCE 상승률 2.6%…“9월 인하 가능성 열어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월 미 PCE 물가지수 상승률 2.6%…시장 전망 부합

근원PCE 전월 대비 0.08%..2020년 11월 이후 이후 최저

뉴욕증시 상승-국채금리 하락 출발

동아일보

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 결정에서 주로 참고하는 미국 인플레이션 지표가 시장 전망치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현지시간) 미 상무부는 5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전년대비 2.6%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전망치에 부합한 수치로 4월(2.7%)에 비해서도 둔화된 수치다. 전월 대비로는 변화가 없었다.

변동성이 높은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1%, 전년대비 2.6% 상승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에 부합할 뿐 아니라 4월 상승률(0.3%, 2.8%)에 비해 내려간 수치다. 반올림 하지 않은 5월 전월대비 근원 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0.08%로 이는 2020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였다.

PCE 물가지수는 대중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소비자물가지수(CPI) 보다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지표로 꼽힌다. 도시생활자에 집중돼 있고, 대체재 등이 현실에 부합한다고 보고 있다. 근원 PCE가 4월에 이어 2%로 진입해 있고, 전월 대비 소폭 진전을 보인 점에서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살려뒀다는 평가다. 미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이날 PCE 물가지수가 나온 이후 0.5% 안팎의 소폭 상승세로 출발했다. 미 국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앞서 5월 CPI 상승률도 전년 동월 대비 3.3%로 둔화세를 보임에 따라 인플레이션 재점화에 대한 우려는 진정될 것으로 보인다. 다이앤 스웡크 KPMG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TV에 “우리가 보기 시작한 상품 가격의 디플레이션과 약세는 9월 인하 가능성으로 가는 길을 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정책 금리 선물 투자자들은 9월까지 금리가 떨어질 가능성을 약 61%로 전 날에 비해 소폭 올렸다. 미국 대통령 선거 직후인 11월까지 금리 인하 가능성을 80%로 보고 있다.

연준 매파들의 강성 발언과 인플레이션 예측의 어려움 때문에 올해 금리인하가 한 차례가 될 지 두 차례가 될지에 대해서도 시장의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한국은행 뉴욕사무소에 따르면 월가 주요 10개 은행중 4곳(바클레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JP모건체이스, 도이체방크)은 연내 한 차례인 0.25%포인트 인하, 또 다른 4곳(골드만삭스, 노무라, 웰스파고, TD뱅크)은 연내 두 차례에 걸쳐 0.5%포인트 인하를 내다보고 있다. 씨티와 모건 스탠리는 세 차례에 걸쳐 0.75%포인트 인하로 전망했다.

앞서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에서 연준 위원들의 연말 금리 중간값을 5.1%로 한 차례 인하를 내다본 바 있다. 하지만 연준 위원 19명 중 8명이 두 차례 인하, 7명은 1차례 인하, 4명은 ‘올해 인하 없다’를 찍어 연준 내에서도 전망이 엇갈리는 상태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올해 금리를 두 번 이상 내리거나, 내리지 않거나, 심지어 올릴 수 있는 그럴듯한 시나리오가 있다”면서도 “4분기(10~12월)에는 한 차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연준 내 매파인 미셸 보우면 이사는 26, 27일 연속 “(인플레이션 상황이)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