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中, 리상푸 前국방부장 해임 8개월만에 당적 제명…"뇌물 수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풍 심각 오염"…로켓군·군수 분야 反부패 사정 속 작년 8월 공식석상서 사라져

내달 3중전회 전 실각 고위직 조사 마무리 수순…친강 당적 제명 여부는 발표 안해

연합뉴스

작년 6월 샹그릴라 대화에 참석한 리상푸 전 국방부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중국 당국이 지난 10월 전격 해임한 리상푸(66) 전 국방부장(국방장관)을 8개월 만에 중국공산당에서 제명했다.

27일 관영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은 이날 회의에서 '리상푸 문제 심사 결과와 처리 의견에 관한 보고'를 심의한 뒤 통과시키면서 그의 당적을 제명하고 20차 당 대회 대표 자격 박탈을 결정했다. 중앙정치국은 그의 상장 계급도 취소하기로 했다.

중앙정치국은 "중앙군사위원회 기율검사위원회·감찰위원회는 사건 조사 중 문제의 실마리를 발견했고, (당) 중앙은 연구를 거쳐 2023년 8월 31일 중앙군사위 기율위·감찰위가 리상푸의 엄중한 기율·법률 위반 문제 조사를 개시하도록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사 결과 리상푸는 정치 기율을 엄중히 위반한 채 조직 심사에 저항했고, 조직 기율을 엄중히 위반해 본인과 타인을 위해 인사상 이익을 도모했다"면서 "직무상 편의를 이용, 타인의 이익을 도모하고 거액의 금전을 수수해 뇌물 수수죄 혐의가 있고, 정당하지 않은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 타인에게 금전을 건네 뇌물 공여죄 혐의가 있다"고 밝혔다.

중앙정치국은 "심사와 조사 중에 리상푸의 다른 엄중한 기율·법규 위반 문제 단서도 발견됐다"면서 "리상푸는 당과 군대의 고급 지도 간부로서 초심과 사명을 버리고 당성(黨性) 원칙을 상실해 그 행위가 당 중앙과 중앙군사위의 신임을 저버렸으며, 군대 장비 영역의 정치 생활과 산업 영역의 기풍을 심각하게 오염시켜 당의 사업과 국방·군대 건설, 고급 지도 간부 이미지에 막대한 손실을 가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성질이 극도로 엄중하고, 영향이 극도로 나쁘며, 피해가 특히 크다"고 강조했다.

중앙정치국은 "리상푸의 범죄 혐의 문제를 군사검찰기관에 이송해 심사와 기소를 의뢰한다"며 "당적 제명 처분은 (내달 15∼18일 열리는)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추인받는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3월 임명됐던 리상푸 전 부장은 5개월 만인 작년 8월 29일 중국·아프리카 평화 안보 논단에 참석한 뒤 공식 석상에서 돌연 자취를 감췄다.

이후 그가 중국공산당 정치국 집단학습이나 국경절 리셉션 등 고위직이 빠짐없이 참석하는 행사에 잇따라 불참하면서 '실각설'이 제기됐다.

중국 당국은 리 부장이 갑자기 사라진 이유를 별도로 설명하지 않았고, 두 달가량 지난 10월 24일 전인대 상무위원회 제6차 회의를 통해 그의 국방부장·국무위원·중앙군사위원직을 모두 면직한다고만 발표했다.

리 전 부장의 '혐의'는 인민해방군에서 전략 미사일과 항공우주 전력을 담당하는 로켓군 등을 겨냥한 군부 반부패 조사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지난해 7월 말 중국 중앙군사위 장비발전부는 2017년 10월 이후 발생한 조달 관련 부패와 범죄 신고를 받는다는 통지를 발표했고, 이후 로켓군 수뇌부가 대거 물갈이·구속되는 가운데 리 전 부장은 갑작스레 '실종'됐기 때문이다. 리 전 부장은 중앙군사위 장비발전부장 출신이다.

그는 첨예한 미중 갈등을 상징하는 인물로 꼽히기도 했다. 중앙군사위 장비발전부장 재임 당시인 2018년 러시아로부터 전투기 10대와 방공 미사일 시스템을 불법 구매했다는 이유로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됐는데, 시진핑 주석은 이에 아랑곳없이 작년 3월 그를 국방부장으로 임명하며 신임을 보였다.

한편, 이날 중앙정치국은 리상푸의 전임자인 웨이펑허(70) 전 국방부장 역시 작년 9월부터 조사해 뇌물 수수 등 문제를 발견했다며 당적 제명 처분을 내렸다.

웨이펑허는 2015년 만들어진 로켓군의 초대 사령원(상장·대장급)이자 로켓군 출신 첫 중국 국방부장이다. 2012년 11월 시 주석이 집권한 이후 단행한 첫 장성 인사에서 상장으로 승진, 시 주석의 군내 친위세력으로 분류됐다.

2018년 그가 국방부장으로 임명되자 미국에 맞선 미사일 전력의 강화를 의미하는 것이자 시 주석의 로켓군에 대한 지지를 나타낸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 바 있다.

중국공산당의 이런 결정을 두고 내달 15∼18일 열릴 20기 3중전회에 앞서 작년 이래 숙청된 고위직들에 대한 당 차원의 조사가 마무리 수순에 접어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중앙정치국은 이날 리상푸·웨이펑허의 당적 제명을 발표하면서도 그간 관심을 모았던 친강 전 외교부장의 당적 문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xing@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