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신범철, 이종섭 장관 출장 중 ‘채 상병 사건 기록 회수’ 키맨 역할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이 지난 21일 오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채상병특검법)에 대한 입법청문회에서 증인선서 거부 소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사건의 수사외압 의혹과 관련해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의 역할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신 전 차관이 지난해 8월2일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수사기록 경찰 ‘이첩’과 ‘회수’ 과정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대통령실 및 국방부 관계자 등과 긴밀히 소통한 것으로 드러나면서다. 당시 이 전 장관이 해외 출장 중인 상황에서 신 전 차관이 수사기록 회수 과정의 ‘키맨’ 역할을 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27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신 전 차관은 해병대 수사단이 지난해 8월2일 오전 경북경찰청에 수사기록을 넘긴 뒤 윤 대통령을 비롯해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 등 이 사건의 핵심 관계자들과 수시로 연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신 전 차관이 대통령실 관계자에게 처음 연락한 것은 오전 11시29분쯤이다. 임 전 비서관에게 전화해 약 36초 동안 통화했다. 임 전 비서관은 대통령실과 국방부를 잇는 ‘핫라인’ 역할을 한 것으로 지목되는 인물이다. 이날 해병대 수사단은 오전 10시30분쯤 임 전 사단장 등 간부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북경찰청에 이첩했다.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은 이 전 장관에게 오전 11시13분쯤 해병대 수사단의 기록 이첩 사실을 보고했고, 그로부터 약 15분 뒤 ‘신범철→임기훈’ 통화가 이뤄졌다.

이후 ‘윤석열·이종섭·신범철’ 3자 간 통화가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윤 대통령이 오후 12시부터 1시까지 개인 휴대전화로 이 전 장관에게 3차례 전화를 걸었고 두 사람은 약 18분간 통화했다. 그 사이인 오후 12시17분 신 전 차관과 이 전 장관의 통화가 약 1분30초 간 이뤄졌다. 당시 신 전 차관과 임 전 비서관,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이 서로 분주하게 연락을 주고받은 사실도 드러났다.

신 전 차관이 윤 대통령에게 처음 전화한 시점은 오후 1시30분이다. 채 상병 사건 기록이 경찰로부터 회수되기 직전이다. 윤 대통령은 오후 1시25분쯤 임 전 비서관과 전화하고, 그 후엔 ‘이시원→임기훈→유재은’ 순으로 통화가 이뤄졌다. 유 법무관리관은 오후 1시51분쯤 경북경찰청에 전화해 기록을 회수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사건 기록 회수가 윤 대통령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보이는 정황이다.

신 전 차관이 당시 여러 번 통화한 사람 중엔 박진희 전 보좌관도 있다. 그런데 두 사람의 통화가 사실은 이 전 장관과의 통화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 전 장관은 당시 우즈베키스탄 출장 중이었는데 국방부 검찰단장과 통화할 때 박 전 보좌관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적 있다고 말한 바 있기 때문이다.

신 전 차관은 이날 윤 대통령과 두 차례 더 통화를 주고받았다. 오후 3시40분과 오후 4시21분에 각각 3분36초, 10초씩 통화했다. 통화가 이뤄진 시점은 국방부 검찰단이 채 상병 사건 기록을 회수하기 위해 경북경찰청으로 출발한 직후(오후 3시30분쯤)와도 겹친다.

이 같은 통화 내역들은 신 전 차관이 해외 출장 중인 이 전 장관을 대신해 윗선과 긴밀히 소통하고 윗선의 수사기록 회수 지시를 국방부에 전달해 사건을 되찾아오는 역할을 했음이 의심되는 정황들이다. 실제 신 전 차관은 지난 21일 국회 ‘채 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에서 윤 대통령과의 통화에 대한 질문을 받고 “그것은 (수사기록) 회수에 관련한 것”이라고 답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 때문에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도 신 전 차관의 역할에 주목하고 수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출신 한 변호사는 “윤 대통령이나 이 전 장관 등 의혹의 윗선으로 수사를 진행하려면 신 전 차관을 가장 먼저 조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김혜리 기자 harry@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