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상업용 부동산 충격 시나리오 견뎠다”…미국 대형은행 31곳, 연준 스트레스 테스트 통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동산 침체 둘러싼 은행 부실 우려 완화
“총 6850억 달러 순손실 견딜 자본 보유”


이투데이

미국 워싱턴D.C.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건물이 보인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대형은행 31곳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시행한 올해 스트레스 테스트(건전성 심사)를 모두 통과했다.

26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CNBC방송에 따르면 연준은 이날 “연간 스트레스 테스트에서 31개 은행이 모두 심각한 가상 경기침체를 견뎌 장애물을 통과했다”며 “이들 은행 모두 최소 요구 자본 수준 이상을 유지하면서 손실을 흡수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스트레스 테스트는 경제적 충격이 강하게 일어나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이를 견딜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주목적이다. 올해 연준의 비상 훈련은 상업용 부동산 가치가 40% 폭락하고 주택 가격은 36% 하락하며 실업률은 10%로 치솟고 증시 시가총액이 절반 이상 증발하는 등 심각한 경기침체 상황을 가정해 이뤄졌다.

연준은 해당 시나리오에서 31개 대형은행이 총 6850억 달러(약 952조 원)의 순손실을 볼 것으로 추정했지만, 이들 은행이 손실을 흡수할 수 있는 충분한 자본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연준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새 위기를 방지하고자 스트레스 테스트를 도입해 매년 실시하고 있다. 올해에는 자산 규모가 1000억 달러 이상인 31개 대형은행을 대상으로 했다. JP모건체이스, 골드만삭스와 같은 대형은행과 아메리칸익스프레스 등 신용카드사, 투루이스트를 포함한 지역 대출 기관이 여기에 포함됐다.

대형은행들이 상업용 부동산 가치가 40% 추락하는 가상 상황에서도 살아남으면서 상업용 부동산시장 침체에 따른 미국 은행들의 부실 우려가 완화됐다. 투자자들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오피스 빌딩의 공실률이 사상 최고치로 치솟으면서 은행들이 얼마나 위험을 견딜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올해 연준 스트레스 테스트에 주목하고 있었다.

마이클 바 연준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은 “테스트의 목표는 은행이 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 손실을 흡수할 충분한 자본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며 “이번 테스트는 은행의 자본이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투데이/변효선 기자 (hsbyu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