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금양, 4695 원통형 배터리 장착 완성차 4륜구동 시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4 부산보빌리티쇼서 모형 공개

뉴시스

[부산=뉴시스] ㈜금양은 오는 28일 개막하는 '2024 부산 모빌리티쇼'에서 4695 원통형 배터리를 장착한 4륜구동 완성차 모형을 공개하고, 실제 구동을 시연한다고 27일 밝혔다. (사진=금양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금양은 28일 개막하는 '2024 부산 모빌리티쇼'에서 4695 원통형 배터리를 장착한 4륜구동 완성차 모형을 공개하고, 실제 구동을 시연한다고 27일 밝혔다.

금양은 지난 3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4'에서 국내 최초로 꿈의 이차전지라 불리는 4695 원통형 배터리를 공개해 관련 기업들을 놀라게 했다.

이번 시연을 통해 공개되는 금양의 원통형 배터리 축약 기술은 높은 에너지 밀도로 보다 빨리 충전되고, 보다 오래 사용하며,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원통형 배터리를 만든다는 개발 목표를 달성했다고 금양은 전했다.

먼저 SMLAB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 양산 중인 울트라 하이니켈 97%의 단결정 NCMA 양극재를 100% 단독 사용해 원통형 전지 세계 최고의 에너지 밀도인 kg당 290Wh를 확보했다. 이에 따른 테슬라의 4680 대비 주행거리는 약 44% 확장됐고, 전기차 팩 제작시 셀 수량은 약 31% 감소했다.

또 SMLAB의 고용량 클러스터 단결정 양극재와 금양의 배터리 공정 기술을 융합해 내부 저항 등 관련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성능을 최적화했다. 테슬라 30분(2C) 충전 대비 금양은 20분(3C) 충전이 가능한 급속 충전 기술력 확보했다.

아울러 단결정 NCMA 양극재는 전지 내부에서 입자 안정화로 발열 온도 228도, 발화 온도 240도로 다결정 대비 약 25도가 높아 매우 우수한 열적 안전성 특성을 갖고 있다. 더불어 단결정 양극재의 전극 고합제 구현 시 입자 손상이 없어 충방전시 부 반응에 의한 가스 발생이 일반 다결정 대비 약 70% 이상 감소해 긴 수명의 배터리 기술을 확보했다고 금양은 설명했다.

금양은 완성차 기업이 아니지만 이번 부산모빌리티쇼에 대규모 참가하는 것은 공격적인 마케팅의 하나로 해석된다. 올해 말 예정된 기장 드림 팩토리 #2의 준공과 내년 1월 원통형 배터리의 양산 체제로 돌입하면서 글로벌 완성차 시장의 핵심으로의 진입을 알리는 신호탄 성격이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미래 글로벌 완성차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금양이 보유한 혁신적인 배터리 기술을 소개하고, 부산시민들과 함께 성장해온 향토 기업으로서 이차전지 산업의 비전을 제시함으로 부산의 경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한다는 의도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양은 이번 행사를 통해 광산 개발부터 원료 확보, 소재 생산, 배터리 제조에 이르는 K밸류체인과 배터리 제조공정을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또 지난 3월 국내 최초로 개발에 성공한 4695 원통형 배터리의 시연과 몽라광산 3D가상 VR체험, 자동차 시뮬레이터 체험 등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부산모빌리티쇼의 재미를 더할 예정이다.

금양 이광용 본부장은 "부산 시민들과 부산시의 적극적인 성원과 지원 덕분에 금양이 지금까지 성장할 수 있었다"며 "이번 부산모빌리티쇼를 통해 금양의 70년 역사의 성과와 현재의 기술력을 증명하고, 혁신적 발상과 개척 정신으로 세계 최고의 원통형 배터리 기업으로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미래의 비전과 청사진을 제시함으로써 시민들과 함께 성장하는 시민 기업으로서의 진면목을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yulnetphoto@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