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유한킴벌리 하기스, '수퍼점보 사이즈' 기저귀 시대 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영기 기자 = 유한킴벌리는 하기스가 8단계 수퍼점보 사이즈(22~29kg) 기저귀를 런칭하며, 대한민국 기저귀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로써, 하기스는 이른둥이용 초소형 기저귀에서 8단계 수퍼점보 사이즈에 이르는 세분화된 라인업을 보유하게 됐으며, 이들 제품은 전량 유한킴벌리 대전공장에서 생산된다.

하기스가 국내에 첫 선을 보인 1983년 당시에는 소형, 중형, 대형 세가지 사이즈로 출시됐다. 이후, 아이들의 성장발육 개선, 기저귀 떼는 월령 증가, 아이 몸에 맞는 제품 선호, 아기 체형에 대한 빅데이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제품 단계가 세분화되어 왔고, 2020년에는 7단계 특점보 사이즈(17~24kg)를 출시하기도 했다.

8단계 기저귀는 소비자 조사가 단초가 되어 탄생했다. 올해 4월 자사몰 맘큐 고객 중 6단계(점보), 7단계(특점보) 사용 고객 742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조사에서, 50% 이상이 8단계 사용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고, 특히 7단계 소비자로 갈수록 높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로 판매 비중에서 6, 7단계가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 추세다.

8단계 사이즈는 하기스 네이처메이드와 하기스 맥스드라이 제품에 우선 적용되며, 성장이 빠른 아기들과 고월령 아기들이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제품 길이는 10mm 더 길고, 허리와 허벅지 둘레가 30mm 넓어져 더 넉넉하고 편안하다. 흡수력 또한 약 10% 강력해 양이 많아도 샘 걱정이 없다. (기존 7단계 제품 대비). 동 조사에서 8단계 기저귀를 원하는 이유로 꼽힌 편안한 착용감, 큰 사이즈, 충분한 흡수력을 제품에 충실히 반영만만큼 빠르게 대중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8단계 기저귀 출시는 단순히 새로운 사이즈를 선보였다는 의미를 넘어선다. 하기스는 40년 이상 우리나라 아기에게 잘 맞는 기저귀를 연구하며 빅데이터를 구축해 왔으며, 타깃 고객의 약 70%가 가입한 육아생활 플랫폼 맘큐를 통해 소비자의 기대를 직접 청취할 수 있는 채널을 갖추고 있다. 또한, 세분화된 다품종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제조 역량도 8단계 제품의 탄생 비결이다. 수입 제품이나 신생 브랜드가 쉽게 모방할 수 없는 차별적인 경쟁력이 뒷받침된 셈이다.

사이즈가 세분화돼 있어도 아기에게 딱 맞는 제품을 고르는 건 육아 경험이 많은 부모에게도 쉬운 일이 아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하기스 AI 피팅룸 서비스다. 맘큐 앱에서 키, 몸무게 등을 입력하고 기저귀를 입은 모습을 촬영하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사이즈를 추천해 준다. 사이즈 교환으로 인한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탄소배출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어 1석 3조의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유한킴벌리 하기스는 여름 기저귀 시장을 여는 등 마켓 트렌드를 리드하고 있으며, 이른둥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국내에서 유일하게 이른둥이용 초소형 기저귀를 생산, 공급하고 있다. 그동안 3만명이 이른둥이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500만 패드 이상을 신생아집중치료실과 자사몰 맘큐를 통해 기부해 왔다. 또한, 지속가능제품으로 매출의 95% 이상을 달성한다는 전사 ESG 목표 실천을 위해 사탕수수 유래 바이오매스 소재, 산림자원을 보호할 수 있는 FSC 인증펄프, 바이오 원료 함유 고흡수성수지 등을 적용하며, 차세대 제품 시장을 견인해 오고 있다.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007@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