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시위와 파업

천무-K9 등 290발 쐈다… 軍, 서해상 대북 화력시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백령-연평도서 7년만에 실사격훈련

北 극초음속미사일 발사… 공중폭발

어젯밤 또 오물풍선… 3일연속 살포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해병대가 26일 오후 인천 옹진군 백령도에서 천무 다연장로켓 해상 실사격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위쪽 사진). 같은 날 오후 연평도의 한 해병대 포사격 훈련장에서 K-9 자주포의 포사격 훈련이 실시되고 있다(아래쪽 사진). 해병대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교란, 미사일 발사, 오물풍선 살포 등 최근 거듭된 북한 도발에 따라 9·19 남북군사합의로 중단됐던 서북도서 정례 해상 훈련을 약 7년 만에 재개했다고 밝혔다. 해병대사령부 제공·연평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6일 인천 옹진군 대연평도. 북한과 지척인 서북도서에 배치된 해병대의 K-9 자주포가 바다를 향해 일제히 불을 뿜었다. 문재인 정부 초기인 2017년 8월 이후 처음으로, 약 7년 만에 서북도서 해상사격이 실시된 것. 앞서 2018년 체결된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채워진 해상사격 금지 ‘족쇄’가 이날 완전히 풀린 것이다.

앞서 정부는 ‘오물풍선’ 테러 등 북한의 도발이 수위를 넘자 이에 맞서 4일 9·19 합의 효력을 전면 정지시켰고, 그 22일 만인 이날 서북도서 실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하지만 북한은 24, 25일 밤 이틀 연속 오물풍선을 날린 데 이어 이날 새벽엔 미사일까지 발사하며 노골적으로 또 긴장 수위를 끌어올렸다. 다만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은 비행 중 공중 폭발했다.

해병대는 26일 오후 백령도·연평도에서 K-9 자주포와 천무 다연장로켓, 스파이크 대전차 미사일 등으로 해상 실사격 훈련을 진행했다. 약 1시간에 걸쳐 총 290여 발을 쐈다고 해병대는 전했다. K-9 자주포와 천무는 해상 특정 구역을, 스파이크는 해상에 띄워둔 모의 표적을 겨냥해 각각 사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백령도와 연평도는 북한 해안과 짧게는 수 km 떨어져 있다. 그런 만큼 북한은 과거 우리가 서북도서 해상사격을 할 때마다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날 밤 북한은 또다시 대남 오물풍선을 살포하기 시작했다. 5월 말 이후 7번째이자 24일부터 3일 연속 밤마다 오물풍선 테러를 계속하고 있는 것.

이날 서북도서 실사격에 앞서 북한이 새벽에 발사했지만 실패한 미사일은 극초음속 미사일인 것으로 군은 보고 있다. 군 소식통은 “4월 초 김정은 국무위원장 참관하에 쐈던 고체연료 극초음속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을 재발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9·19’ 효력정지 후 첫 실사격훈련… ‘北지휘부 타격’ 화력 과시

백령-연평도서 정례 사격훈련 재개… 2017년 8월 이후 첫 해상 사격
한미, 전투기 30대 동원 연합 훈련… 한미일 ‘프리덤 에지’도 조만간 시작
中 무인기 1대, 방공식별구역 침범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격 준비 끝.”

“쏴.”

26일 오후 백령도와 연평도의 해안 사격 진지. 사격 개시 명령이 떨어지자 해병대의 K-9 자주포 5, 6문이 고막을 찢는 포성을 울리며 일제히 바다를 향해 불기둥을 뿜었다. 잠시 뒤 북한군 장사정포를 잡는 ‘킬러’인 천무 다연장로켓도 굉음과 함께 20여 발의 로켓과 4, 5발의 대구경 유도탄을 인근 해상으로 연속 발사했다. 이어 스파이크 대전차 미사일도 가세했다. 우리 군 레이더와 고성능 관측장비에는 목표 해상 구역에 정확히 떨어지는 포탄들이 실시간으로 포착됐다. 2017년 8월 이후 약 7년 만에 K-9 자주포 등으로 서북도서 해상사격을 실시하면서 9·19 남북군사합의로 인한 사격금지 ‘족쇄’가 완전히 풀렸다.

● 서북도서 ‘대북 3종 무기’ 위력 과시

동아일보

‘해안포 킬러’ 스파이크 미사일 26일 인천 옹진군 연평도의 한 해병대 훈련장에서 스파이크 미사일이 화염을 뿜으며 발사되고 있다. 스파이크 미사일은 적외선 유도 방식으로 북한군 해안포를 정밀 타격할 수 있어 ‘해안포 킬러’라는 별칭이 붙었다. 연평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해상 사격훈련은 정부가 9·19 합의 효력을 전면 정지시킨다고 발표한 지 22일 만에 이뤄졌다. 최근까지 오물풍선 테러와 미사일 도발로 한국을 위협하는 북한과 멀지 않은 곳에서 막강한 화력으로 경고장을 날린 것. 이날 훈련은 서북도서와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 등에서 우리 군을 겨냥해 북한군이 기습 포격하는 상황을 가정해 도발원점 및 지원·지휘세력을 K-9 자주포와 천무로 궤멸시키는 내용으로 진행됐다고 한다.

백령도와 연평도에 배치된 K-9 자주포는 북한의 목과 허리를 겨눈 ‘비수’로 여겨진다. 최대 사거리 40km(사거리 연장탄은 60km)로 황해도 내륙의 북한군 장사정포와 4군단 지휘부에 치명타를 줄 수 있다. 해병대 관계자는 “북한군 장사정포보다 정확도와 파괴력이 뛰어나 적의 도발을 억지하는 효과가 크다”고 강조했다.

천무의 위력 역시 막강하다. 실시간 정밀타격이 가능한 사격통제장치를 갖춘 발사관에서 다양한 구경의 유도탄·무유도탄을 동시다발로 쏠 수 있다. 300여 개의 자탄으로 이뤄진 분산 유도탄을 쏘면 최대 80km 떨어진 곳의 축구장 3배 면적을 초토화할 수 있다. 북한의 방사포와 장사정포 위협에 맞선 화력전을 위한 핵심 무기로 불리는 이유다.

이날 훈련에 참여한 스파이크 대전차 미사일은 ‘해안포 킬러’로 불린다. 차량에 장착된 발사관에서 발사된 뒤 적외선 유도로 서해 내륙기지의 갱도 속 북한군 해안포를 한 치 오차 없이 파괴할 수 있다. 해병대는 “앞으로도 정례적 해상 사격훈련으로 적 도발 시 강력히 응징할 수 있는 태세를 완비할 것”이라며 서북도서 정례 해상 사격훈련이 이번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재개되는 것이라고 공언했다.

● 한미일 훈련 ‘프리덤 에지’ 조만간 실시

이날 한반도 동부 지역 상공에선 한미 공군의 대대급 연합 공중훈련(쌍매훈련)도 진행됐다. 미 공군의 F-22 랩터 스텔스 전투기를 비롯해 한미 공군의 전투기 30여 대가 참가해 항공차단 작전(적 군사력이 아군에 피해를 주기 전에 무력화)을 진행한 것. 세계 최강 전투기이자 미국의 핵심 전략자산으로 평가되는 F-22가 ‘쌍매훈련’에 참가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공군은 전했다.

한미일 3국이 최초로 실시하는 다영역 군사훈련인 ‘프리덤 에지’도 조만간 한반도 주변 해상에서 실시된다. 최근 부산항에 입항했던 시어도어 루스벨트 핵추진 항공모함은 훈련 참가를 위해 26일 출항했다. 앞서 이달 초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서 한미일 국방 수장은 올여름 ‘프리덤 에지’ 실시에 합의한 바 있다. 북한 등 적대국가의 다양한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해상과 수중은 물론이고 사이버와 우주 등 다양한 영역으로 3자 훈련을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게 되는 것.

6·25전쟁 74주년인 25일 중국 무인기 1대가 이어도 남서쪽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50여 분간 침범한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 군은 전투기를 발진시켜 경고했다. 중국이 시어도어 루스벨트 핵항모 등 한미일 훈련 동향을 감시하려는 목적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