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한국전쟁때 헤어진 남매 56년 만에 재회···극적 상봉 ‘감동 사연’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찰 유튜브 채널에 사연 소개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전쟁 때 부모님을 잃어버리고 헤어졌던 남매가 56년 만에 극적으로 상봉한 사연이 공개됐다.

26일 경찰에 따르면 지난 25일 서울경찰 유튜브 채널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6?25 전쟁 미아가 된 남매, 56년 만의 아름다운 상봉’ 제목의 영상이 공개됐다.

서울서부경찰서 민원실에 근무하는 여수민 경사의 설명에 따르면 지난 4월 중순 김모(75)씨가 전쟁 때 헤어진 누나를 찾고 싶다며 찾아왔다. 당시 김씨는 3세, 누나는 15세였다고 한다.

미아가 된 남매는 유엔(UN)군에게 구조되면서 서울의 한 보육원에 맡겨졌다고 한다. 이후 남동생인 김씨만 입양되면서 두 사람은 이별하게 됐다. 그로부터 16년 후 김씨가 입양된 집으로 누나가 찾아왔다. 김씨는 당시 스치듯 누나의 얼굴을 본 것을 마지막으로 다시 헤어졌고 그 후 56년이 지났다고 했다.

김씨보다 12살이 많다면 현재 누나의 나이는 87세다. 여 경사는 “당시에는 호적이 분명하게 등록되지 않았을 수 있을 시기여서 아래위로 한 살씩 더 보태 1936년생부터 1938년생까지 3년 범위를 추적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126명의 대상자가 나왔고 사망자를 제외하면 77명으로 압축됐다. 여 경사는 전국 65개 경찰서에 협조를 의뢰했다.

여 경사는 협조 요청을 한지 약 한 달 후 회신이 오지 않은 경찰서에 전화해서 확인하던 중 김씨와 헤어진 거주지가 일치하는 대상자를 찾았다. 통화하면서 대상자가 찾으려던 사람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어떻게 가족과 헤어지게 됐는지, 어디서 헤어졌는지, 헤어지고 나서 서울 어느 지역 보육원에 있었는지, 생전 부모님의 성함 등의 10가지 질문을 만들었다. 확인 결과 10가지 답변 모두 김씨와 일치해 찾으려던 사람이 맞는 것으로 판단했다.

결국 56년 만에 두 사람은 다시 만났다. 80대가 된 누나는 김씨를 보자마자 부둥켜안고 “그동안 어떻게 살았어···”라며 울먹였다. 김씨는 “잘 살았어요. 누나”라고 말하며 누나의 주름진 손을 꼭 잡았다.

김씨는 “이산가족 만남 프로그램을 많이 봤다”며 “’나는 신청할 수 없는 한계가 있구나’ 싶어서 부럽지만 어떻게 할 수 있는 게 없었다”고 했다. 정부의 ‘이산가족 찾기’ 신청 자격은 한국전쟁으로 북한에 있는 가족과 헤어진 사람이기 때문이다.

김씨는 “그래서 체념하고 있다가 경찰서에 ‘헤어진 가족 찾아주기’를 신청했다”며 “한두 달 걸린다기에, 두 달이든 그 이상이든 괜찮다고 했는데 얼마 후에 연락이 왔다”고 했다. 그는 감격스러운 목소리로 “찾았구나, 찾았구나”라고 말한 후 “너무 감사했다. 진짜 감사합니다”라고 고개를 숙였다.

경찰의 ‘헤어진 가족 찾아주기’는 한국전쟁이나 유아 시절 유기, 혹은 해외 입양 등 불가항력적인 사유로 헤어진 가족을 경찰 전산망 등을 활용해 찾아주는 민원 시스템이다. 전국 경찰청과 경찰서에 방문해 접수할 수 있다. 인터넷으로는 신청을 접수하지 않는다.

박경훈 기자 socool@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