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내 집 마련 시기 올해가 적절” 두산건설, 신규 분양 관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구 부동산 시장 2025년 반등 예상··· 내 집 마련 최적기는 올해

두산건설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시티’ 선착순 계약 진행 中에 관심 커져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은 보통 하락기와 상승기를 반복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일정기간을 주기로 하여 호황과 불황을 반복하면서 변화하는 것이다. 다양한 요인 및 원인으로 인해 부동산 시장의 경기변동은 끊임 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아파트 가격동향 자료를 빗대어 살펴볼 수 있다.

일례로 부동산R114 랩스 자료의 대구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대구는 지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하지만 2010년 0.24p를 시작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2014년과 2015년에는 15p대로 급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대구 부동산 매매·전세시장은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었으며 공급물량이나 청약경쟁률 또한 최고 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이러한 상승세를 이어가던 대구 부동산 시장은 2022년을 기점으로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지난해 하반기 -2.96p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 매매가격지수 자료를 살펴보면 올해 역시 대구 매매가격지수는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약 3년 동안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 지난 2007~2009년 시기와 비슷한 상황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구 부동산 전문가 약 56.3%가 대구 부동산 시장 반등시기를 2025년으로 전망해 눈길을 끌고 있다. 대구지역 부동산전문 광고홍보대행사인 애드메이저가 조사한 주택동향보고서에 따르면, 부동산 전문가 인터뷰 결과 대구 부동산 시장 반등 시기에 대해서 ‘2025년 상반기’(30.4%), ‘2025년 하반기’(25.9%)를 꼽았다. '2024년 하반기'로 예측하는 비율도 18.8%나 됐다.

이어 내 집 마련을 위한 최적기는 올해 하반기(41.1%)와 올해 상반기(25.9%)를 추천했다. 원자재 가격 및 인건비 상승 여파로 향후 신규 아파트 분양가격은 올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수요자 중심 시장인 지금 이 시기에 가격이 하락한 급매물 중심으로 매수하는 게 유효한 전략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2025년'(20.5%)라는 응답은 20%를 넘었고, 2026년이라는 답변도 10.7%를 차지했다.

또 최근 주택산업연구원의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 자료에서 주택건설사업자 및 디벨로퍼를 대상으로 ‘향후 1년 동안 주택공급계획’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69.8%는 ‘예년보다 축소 예정’이라고 답했다. 반면 ‘예년보다 확대 예정’이라고 답한 경우는 5%에 불과했다. 이렇게 되면 내년이나 내후년에 공급 부족에 의한 집값 폭등세가 재현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되고 있다.

두산건설 관계자는 “대구는 최근 3년동안 아파트 가격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는데, 이는 지난 2007~2009년 3년 간의 하락세 이후 급상승했던 것과 비슷한 상황을 보이고 있다”며 “전문가들이 2025년을 대구 부동산 시장 반등시기로 예측한 점, 내 집 마련 적절 시기를 올해로 추천한 점, 신규 공급 물량 축소로 향후 집값 폭등세가 재현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 등으로 올해 대구에서 공급하는 아파트를 선점하려는 움직임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에 대구 북구 학정동 일원에서 조성 예정인 두산건설의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시티’가 수요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현재 선착순 동호 지정 계약을 진행 중에 있다.

두산건설의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시티’는 ‘전용면적 84㎡는 최소 5억3,000만원 대로 공급된다. 여기에 전 평형 1차 계약금 1,000만원 정액제 혜택까지 제공해 수요자들의 자금 마련 부담을 대폭 줄여줄 것으로 보인다.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시티’의 견본주택은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 일원에 마련돼 있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