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글로벌 반도체 주도권 확보"... 7월 반도체대출 17조 시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가전략기술세액공제 3년 연장 추진
R&D‧인력양성, 2027년까지 5조 투자
한국일보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다음 달부터 17조 원의 저금리 대출을 통해 반도체 산업 지원에 나선다. 반도체 등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세액공제 3년 연장을 추진하고, 인력 양성과 사업화 분야에도 5조 원을 쏟아붓는다.

정부는 26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반도체 생태계 종합지원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달 경제이슈점검회의에서 내놓은 26조 원 규모의 반도체 지원 대책을 구체화한 것이다.

시설투자를 많이 해야 하는 반도체기업 특성을 감안, 7월부터 시중 최저 금리 수준으로 17조 원의 대출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지원 대상은 국내에 신규 투자하려는 설계‧소재‧부품‧장비 등 반도체 모든 분야의 국내외 기업이다. 대기업은 산업은행의 일반 대출 대비 0.8~1.0%포인트, 중소·중견기업은 1.2~1.5%포인트 낮은 금리로 신규 자금을 빌릴 수 있다.

이와 함께 반도체 생태계펀드를 2027년까지 1조1,000억 원 규모로 만들어 반도체기업 규모화도 지원한다. 그중 3,000억 원에 대해 다음 달부터 반도체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기업 등에 투자할 방침이다.

올해 말 일몰되는 국가전략기술세액공제를 3년 연장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된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 등은 시설투자 시 15~25%, 연구개발(R&D)투자 시 30~50%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반도체 생태계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R&D‧사업화와 인력 양성에 2027년까지 5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산업계 수요에 대응해 반도체 특성화 대학(18곳)‧대학원(6곳)과 인공지능(AI) 반도체 대학원(3곳)을 확대해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첨단 반도체 기술을 보유한 주요국 연구시설과 공동 연구도 늘린다.

기반시설 구축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경기 용인시 반도체 클러스터의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해 도로·용수·전력 등 인프라 구축에 2조5,000억 원을 투입한다. 해당 클러스터 부지를 관통하는 국도 45호선 이설·확장을 위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와 국비 지원을 추진한다.

정부가 대규모 지원에 나선 건 주요국이 반도체 산업 지원을 대폭 늘리면서 한국 반도체 산업 경쟁력이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앞서 2022년 미국은 반도체과학법을 제정하면서 527억 달러(약 73조 원)의 보조금‧대출 지원에 나섰다. 일본도 1조7,000억 엔(약 15조 원)의 반도체 제조시설 보조금을 운영 중이고, 중국은 지난달 역대 최대인 3,440억 위안(약 65조 원)의 반도체 3차 빅펀드 조성을 발표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반도체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국제 반도체 경쟁의 주도권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세종= 변태섭 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