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최근 영유아 '수족구' 급증..예방백신 없어 위생수칙 잘 지켜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온 따뜻해지면서 발생 급증하고 있어
예방백신 따로 없어 위생수칙 잘 지켜야


파이낸셜뉴스

손발 수포·발진은 영유아 수족구병의 대표 증상이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질병관리청은 26일 최근 0~6세 영유아를 중심으로 수족구병 환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손씻기 등 수족구병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질병청이 운영하는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 방문 외래환자 1000명당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은 6월 둘째주 기준 34.1명으로, 최근 4주간 2.3배 증가했다.

환자가 늘어나면서, 5월 다섯째주부터 코로나19 유행 이전에 수족구병이 크게 유행했던 2019년의 동 기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로는 0~6세에서 전체 환자의 90.2%(49.3명/1000명), 7~18세에서 9.7% (8.9명/1000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족구병 병원체 감시 결과, 중증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엔테로바이러스 71형(EV-A71)의 발생이 확인돼, 병원체의 특성(증상의 종류, 강도)과 계통분석을 통해 국내 유행주 및 발생 경향을 파악하면서 EV-A71의 전국적인 확산세를 분석,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 질환은 기온이 따뜻해지는 6월~7월 사이에 많이 발생하는데, 최근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 대만, 싱가포르 등의 국가에서도 증가 사례가 확인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주차 이후 최근 10년간 환자수가 가장 많았던 2019년 발생 수준을 상회하고 있다.

대만은 13주차부터 증가 추세에 있고, 싱가포르는 24주차까지 2023년 동 기간 대비 17.2%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족구병의 주요 원인 바이러스는 엔테로바이러스의 일종인 콕사키 바이러스로 세부 종류가 많고, 또 다른 종류인 엔테로바이러스 71형(EV-A71) 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어 이전에 수족구병에 걸렸어도 다시 걸릴 수 있다.

감염은 손 등을 통한 분변·구강 감염뿐만 아니라, 환자의 침, 가래,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을 통한 비말감염, 피부의 물집에 직접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이 가능하며, 환자가 만진 오염된 물건을 만져서 전염되는 경우도 많아 개인위생이 취약하고 집단생활을 많이 하는 영유아(0~6세)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특성을 보인다.

보통 감염 후 2~3일 동안 발열, 식욕부진, 인후통, 무력감 등이 나타난 이후 3~4일이 지나면 호전되나, 간혹 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엔테로바이러스 71형(EV-A71)에 의한 수족구병에서 뇌간 뇌척수염, 신경원성 폐부종, 폐출혈, 심근염, 심장막염, 쇼크 및 사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가 수족구병 의심 증상을 보이는 경우 의사의 진료가 필요하며, 특히 38도 이상의 고열, 팔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구토,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수족구병은 예방백신이 없어 개인위생 및 환자관리가 중요하다. 수족구병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기저귀 뒤처리 후, 환자를 돌본 후 반드시 손씻기, 배설물이 묻은 의류는 깨끗하게 세탁하는 등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며, 생활용품을 따로 사용하는 등 가족 구성원 간 감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는 장난감, 놀이기구, 문 손잡이 등 손이 닿는 집기의 소독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고, 영유아가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 손씻기 등 개인 예방수칙을 잘 지키도록 해야 한다.

또한 수족구에 걸린 영유아는 증상 발생 동안은 여전히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회복될 때까지 어린이집 등의 등원을 자제하도록 해야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수족구병은 아직 예방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손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며 "특히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수족구병 예방관리를 위해 손씻기 및 장난감을 포함한 물품 소독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한다”고 당부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