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연 15% 분배금 줘 ‘프리미엄’ ETF라고?… 목표일뿐 확정 수익 아닙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상장지수펀드(ETF) 이름을 지을 때 투자자들의 오해를 유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배당은 꼬박꼬박 지급하지만 기초자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커버드콜 상품을 ‘프리미엄’이라는 이름으로 내면서다. 커버드콜 상품에서 프리미엄이란 정확히는 옵션을 팔아 챙긴 프리미엄인데, ETF 이름을 정하면서 운용사들이 옵션매도는 쏙 빼고 프리미엄만 기재하는 것이다.

퍼센티지와 프리미엄을 함께 기재해 확정된 수익을 제공하는 상품으로 투자자가 착각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ETF 상장을 심사하는 한국거래소는 오해의 소지를 줄일 방안이 있는지 고민해 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선비즈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바라본 흐린 날씨 속 여의도 증권가./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2022년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미국배당프리미엄액티브’를 시작으로 커버드콜 상품이면서 프리미엄이라는 이름을 갖고 상장한 ETF는 모두 15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11개가 올해 상장됐을 만큼 현재 ETF 업계의 트렌드는 단연 프리미엄 ETF다. 지난해부터는 ‘TIGER 미국배당+3%프리미엄다우존스’처럼 n%프리미엄 ETF가 출시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15%프리미엄 ETF까지 나왔다.

ETF 이름에 수익률은 기재돼 있지만, 확정 수익률은 아니다. 이 퍼센티지의 뜻은 목표 수익률이다. 연 15%의 배당금을 주는 걸 목표로 커버드콜 전략을 추구하지만 그에 못 미칠 수 있다는 얘기다. 커버드콜이란 미리 정한 가격에 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인 콜 옵션을 팔아 이익을 챙기는 투자 기법으로, 이때 해당 이익을 분배금으로 투자자들에게 나눠주는 게 커버드콜 ETF다.

기초자산에 n%프리미엄이 ‘+’ 형태로 붙었다는 점 역시 투자자의 오해를 키우는 요소 중 하나다. 가령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미국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옵션’의 경우 미국의 대표 기술주 지수인 나스닥100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면서 여기에 15%의 연 분배금을 얹어주는 상품으로 오해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커버드콜은 구조적으로 기초자산의 상승분을 그대로 누리는 게 불가능하다. 콜 옵션을 행사한다는 게 달리는 지수에서 하차한다는 것과 같아서다. ‘ACE 미국빅테크7+15%프리미엄분배’와 ‘KODEX 미국30년국채+12%프리미엄’ 등 타 자산운용사의 상품도 모두 마찬가지다.

지속적으로 기초자산이 상승하는 ETF라면 커버드콜 상품이 오리지널보다 불리하기도 하다. 최근 한 달간 오름세를 보인 미국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 관련 상품이 대표적인 예다. 이 지수를 추종하는 커버드콜 상품인 ‘TIGER 미국S&P500+10%프리미엄초단기’의 최근 한 달 수익률은 4.98%인데, 오리지널인 ‘TIGER 미국S&P500′은 5.28%였다. 콜옵션을 파는 전략 탓에 커버드콜 ETF의 수익률이 더 낮은 것이다.

ETF 이름에 모든 정보를 담지 못하는 현실을 무시할 수는 없다. ETF 이름에 운용사의 브랜드, 기초자산, 환 헤지 여부, 합성 여부 등 포함돼야 할 요소가 규정으로 정해져 있는데, 시스템상 40바이트(byte) 이하로 정해야 해서다. 하지만 사정이 그렇다고 해도 +n%프리미엄과 같은 이름은 운용사가 강조하고 싶은 정보만 담았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한편으론 기초자산의 상승분을 포기하는 게 커버드콜 전략인데 프리미엄이라는 단어는 아예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국거래소도 ETF 초보 투자자가 이름 때문에 상품을 착각할 수 있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 거래소는 투자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n%프리미엄 ETF에 대한 오해의 소지를 줄일 방법을 검토할 방침이다.

문수빈 기자(bea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