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서울시 폐지수집 노인, 더 이상 안 주워도 된다…'일자리 전환'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폐지 안 줍고도 생계 잇도록…일자리 전환 전담기관 운영

폐지수집 지속 원할 때에는 평균수입 2배 급여 방식 지급

뉴시스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한 노인이 폐지를 줍고 있는 모습. 2024.04.01.suncho21@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서울시가 폐지수집 노인들이 더 이상 폐지를 줍지 않아도 생계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노인 일자리 제공에 나선다.

시는 폐지수집 노인들의 생계를 지원하기 위해 소득보장 일자리를 지원하는 '폐지수집 어르신 일자리 전환 전담기관'을 전 자치구에 지정·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손수레에 폐지를 가듣 싣고 도로 위를 아슬아슬하게 다니지만, 정작 손에 쥐는 돈은 한달에 15만원 남짓인 폐지수집 노인들의 안정적인 생계와 안전한 노동환경을 실질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다.

서울시가 지난 2~5월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재 총 3000여 명의 폐지수집 노인들이 활동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여성이 61%로 과반을 넘었고, 80대 이상 47%, 70대 41%, 60대 12%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기초수급·차상위 계층은 30%에 달했다.

이번 지원의 핵심은 이러한 폐지수집 노인들이 더 이상 폐지를 줍지 않아도 생계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저강도 노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자리 전환 전담기관은 자치구 내 시니어클럽, 노인종합복지관 등을 활용한다. 공공장소 플라스틱·담배꽁초 수거, 수변공원 환경미화원 등 일의 형태는 유사하지만 노동 강도가 약한 월 30시간 내의 일자리를 개발해 연계할 계획이다.

상대적으로 폐지수집 활동을 시작한지 오래되지 않은 60대 노인에게는 복지시설도우미와 같은 공공일자리나 도보 배달원 등 민간 일자리를 적극 연계해 적정 소득을 보장한다.

그럼에도 폐지 수집을 지속 원하는 노인에게는 공공일자리 사업인 '폐지 수집 일자리사업단'을 연계해 수입을 늘려준다.

일자리사업단은 수집한 폐지를 자치구가 지정한 공동 판매처에 갖다주면 판매금액에 보조금을 더해 2배 수준(평균 30만원)의 금액을 급여로 지급한다. 현재 13개 구에서 1253명이 일하고 있는데, 전 자치구 1800명으로 1.5배 가량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실제 서울시가 폐지수집 노인 433명 대상으로 지난달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폐지수집을 지속하고 싶다는 응답이 약 60%에 달했다.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일할 수 있고 당일 현금으로 판매대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보호 장비 없이 위험한 상황에서 일하는 노인들의 안전과 건강도 챙긴다. '어르신 안전보험' 가입을 지원해 교통사고를 비롯한 각종 안전 사고에 대비한다. 자치구와 협의해 고물상 주변 무단횡단이 잦은 지역에는 안전 시설물도 설치한다.

공공일자리에 참여하고 싶어도 다른 지원을 받고 있어 참여가 제한되거나 기초수급 탈락을 우려해 참여를 꺼리는 노인을 위해서는 폐지수집이 아닌 다른 일자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 지침 개정 등 제도 개선을 촉구할 예정이다.

폐지수집 노인 관리 시스템도 구축한다. 관리시스템에 등록된 노인에 대해 동주민센터 복지플래너가 초기 상담을 실시한 뒤 일자리 전환 전담기관으로 1차 연계해 적합한 일자리를 알선하다. 이밖에 월 1회 이상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건강상태, 필요서비스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정상훈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경기 불황으로 폐지 배출량이 줄어듦은 물론 폐지단가도 떨어져 어르신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일을 통해 생활을 유지하도록 노인 적합형 일자리를 적극 발굴·공급하고 정부 협조를 통해 실질적으로 생계에 도움이 되는 지원을 두텁게 펼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