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24일) 공장에 많이 있었던 리튬 배터리는 물이 닿으면 쉽게 폭발하고, 또 유독 가스가 많이 발생합니다. 이 때문에 물을 뿌리는 방식으로는 불을 끌 수가 없고, 또 가스와 연기 때문에 화재 현장에 접근하기도 어려워서 오늘도 그 불이 난 공장에서는 진화와 구조 작업이 쉽지 않았습니다.
이 내용은 장선이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오늘 화재가 발생한 일차 전지 제조공장에는 리튬 배터리가 무려 3만 5천 개나 있었습니다.
화재는 리튬 배터리 완제품을 검수하고 포장하던 도중 배터리 하나가 폭발하면서 시작된 걸로 추정됩니다.
대형 화재로 번진 건 리튬 배터리가 곧바로 '열폭주' 현상을 일으켰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리튬 배터리가 장착된 전기 자전거에 불이 붙습니다.
일반 화재와 달리 단 1, 2초 만에 화염이 커집니다.
리튬 배터리의 경우, 다양한 원인 탓에 내부 온도가 과도하게 오르면, 배터리 내부가 풍선처럼 급격히 팽창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내부 분리막이 무너지면서 양극과 음극이 맞닿게 되는데, 거기서 불꽃이 생기면 불이 붙고 온도가 더 급격히 치솟는 겁니다.
초기 불꽃이 제거된다 해도 뜨거운 열은 다른 배터리에 연쇄적으로 전달되고, 이른바 '열폭주'를 일으킵니다.
화재 진압은 일반적 방식으로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불붙은 리튬 배터리에 물이 닿으면, 가연성이 높은 수소 가스가 발생하는데, 2차 폭발 위험이 그만큼 커지는 겁니다.
[이호근/대덕대학교 미래자동차학과 : 일단 열폭주가 발생하게 되면 가스가 고압으로 분출되면서 일반적으로 물을 부었을 때 물이 배터리에 아예 닿지 않고, 배터리가 갖고 있는 모든 에너지가 열로 발산될 때까지는 지속적으로 화학반응이 발생하기 때문에….]
화재 현장인 경기 화성시에는 지난 주말 최대 73mm의 비가 왔고, 그에 따라 건조하지 않은 환경도 이번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에는 악조건이었던 걸로 추정됩니다.
폭발로 방출되는 유독가스도 화재 진압과 구조를 어렵게 합니다.
[공하성/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 불산이라든가 벤젠 이런 독성 가스가 또 나오거든요. 이런 유독한 가스는 목재에 비해 독성이 수십에서 수백 배 이상이 됩니다.]
오늘 불이 난 공장은 리튬 일차 전지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제조 특성상 화재에 취약한 편인데, 다른 리튬 일차 전지 업체도 지난 2015년 이후 두 차례나 대형 화재를 겪기도 했습니다.
(영상편집 : 윤태호)
장선이 기자 sun@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오늘(24일) 공장에 많이 있었던 리튬 배터리는 물이 닿으면 쉽게 폭발하고, 또 유독 가스가 많이 발생합니다. 이 때문에 물을 뿌리는 방식으로는 불을 끌 수가 없고, 또 가스와 연기 때문에 화재 현장에 접근하기도 어려워서 오늘도 그 불이 난 공장에서는 진화와 구조 작업이 쉽지 않았습니다.
이 내용은 장선이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오늘 화재가 발생한 일차 전지 제조공장에는 리튬 배터리가 무려 3만 5천 개나 있었습니다.
화재는 리튬 배터리 완제품을 검수하고 포장하던 도중 배터리 하나가 폭발하면서 시작된 걸로 추정됩니다.
대형 화재로 번진 건 리튬 배터리가 곧바로 '열폭주' 현상을 일으켰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리튬 배터리가 장착된 전기 자전거에 불이 붙습니다.
일반 화재와 달리 단 1, 2초 만에 화염이 커집니다.
리튬 배터리의 경우, 다양한 원인 탓에 내부 온도가 과도하게 오르면, 배터리 내부가 풍선처럼 급격히 팽창하기 시작합니다.
초기 불꽃이 제거된다 해도 뜨거운 열은 다른 배터리에 연쇄적으로 전달되고, 이른바 '열폭주'를 일으킵니다.
화재 진압은 일반적 방식으로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불붙은 리튬 배터리에 물이 닿으면, 가연성이 높은 수소 가스가 발생하는데, 2차 폭발 위험이 그만큼 커지는 겁니다.
화재 현장인 경기 화성시에는 지난 주말 최대 73mm의 비가 왔고, 그에 따라 건조하지 않은 환경도 이번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에는 악조건이었던 걸로 추정됩니다.
폭발로 방출되는 유독가스도 화재 진압과 구조를 어렵게 합니다.
[공하성/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 불산이라든가 벤젠 이런 독성 가스가 또 나오거든요. 이런 유독한 가스는 목재에 비해 독성이 수십에서 수백 배 이상이 됩니다.]
(영상편집 : 윤태호)
장선이 기자 sun@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