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친명 ‘더혁신’ 시도당위원장 속속 출사표…지선 넘어 대선 밑그림 [이런정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강위원 상임대표, 광주광역시당 위원장 출마

“당원권 강화 통한 시도당 만들어보자는 것”

시도당위원장, 광역단체장外 지선 공천 관여

지선에 영향력 발휘, 나아가 대선 준비 기반

이재명 대표 대선 위한 지역조직 구축 핵심으로

헤럴드경제

지난 4월 29일 국회에서 열린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총선 평가 및 조직 전망 논의 간담회 모습.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안대용·양근혁 기자] 총선 이후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모임으로 발돋움한 ‘더민주전국혁신회의(더혁신)’ 구성원들이 8월 전당대회에 맞춰 치러지는 당의 시도당위원장 선거에 속속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민주당 시도당위원장의 경우 광역단체장 외 지자체장, 기초의원, 광역의원 등 공천에 관여하면서 시도당 조직을 관리한다. 직접적으로는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나아가 대선을 준비할 수 있는 지역 조직 기반에 핵심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친명(친이재명) 인사들이 대거 주축을 이루는 더혁신에서 대거 시도당위원장을 맡을 경우 이들을 중심으로 이재명 대표의 대선 준비를 위한 지역조직이 갖춰지게 된다.

광주광역시당 위원장 출마를 선언한 강위원 더혁신 상임대표는 24일 헤럴드경제에 “당원권 강화를 통한 당원 민주주의 시도당을 한 번 만들어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상임대표는 “중앙당은 지금 그런 방향으로 가고 있는데, 시도당은 관행적으로 합의 추대하고 있다”며 “금귀월래(금요일에 지역구로 가서 주말을 보내고 월요일에 서울로 돌아오는 것)라고 금요일에 돌아와서 월요일에 올라간다는 건데, 그게 주말 정당이지 상시 정당이 아니지 않나. 당원 참여 의욕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당원들을 늘 만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명 원외조직이던 더혁신은 4·10 총선을 거치면서 사실상 당내 최대 계파로 성장했다. 총선 이후 지난 4월말 개최한 간담회에서 더혁신 측이 직접 밝힌 22대 총선 당선인은 31명이었는데, 현역 의원 가입자가 계속 늘고 있다. 당시 원내대표 출사표를 던졌던 박찬대 의원과 국회의장 후보 4명이 모두 간담회에 참석하면서 그 위상을 보여줬다는 분석과 함께, 단순히 현역 의원 숫자로만 설명되지 않는 ‘영향력’은 그 이상일 것이란 평가가 나왔다.

이제는 단순 민주당 원외 모임이라고 부르기 어려워진 더혁신에서 현역 의원, 원외 인사 할 것 없이 시도당위원장 선거에 뛰어드는 것이다. 전날 “시도당위원장 경선 원칙을 제도화하고 그 비용을 당에서 보전하는 경선 공영제를 당헌·당규에 명시하겠다. 국회의원끼리 합의 추대는 당원중심 대중정당과 맞지 않는 모습”이라며 강 상임대표와 함께 기자회견을 했던 이광희 민주당 의원도 더혁신 소속이다. 이 의원은 충북도당 위원장 출마를 선언했다.

더혁신 구성원들이 시도당위원장에 대거 진출한다는 것은 지방선거 공천에 친명 인사들의 직접적인 관여가 는다는 것을 뜻한다. 민주당 당헌 따르면 시도당위원장은 광역단체장 외 지방자치단체장, 기초의원, 광역의원 등 공천에 관여한다.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2026년 지방선거 이듬해 치러지는 대선 조직의 발판을 놓는다는 점에서 상당한 무게를 지닌다. 민주당의 한 재선 의원은 “지방선거는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2026년 지방선거의 경우 2027년 대선 9개월 전에 치러지는 만큼 대선을 치르는 지역조직을 갖추는 과정이 되는 것이기도 하다”며 “그래서 시도당위원장도 더욱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더혁신은 공개적으로 ‘이재명 대통령 시대를 만들겠다’, ‘이재명과 함께 정권교체를 실현하겠다’고 강조한다.

최근 민주당은 당규를 개정하면서 시도당위원장 선출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조정했다. 50대 50이던 기존 규정을 20대 1 미만으로 바꿨다. 권리당원의 표 가치를 높인 것이다. ‘당원주권시대’를 표방하는 더혁신 구성원들이 시도당위원장 선거에서 더 유리해진 셈이 됐다. 구체적 방식은 전준위 심의 후 당무위 의결로 확정하기로 한 상태다.

dandy@heraldcorp.com
y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