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민주당 내 “경쟁 없는 또대명, 전대흥행 빨간불” 친명계 “이재명 중심 뭉쳐야 특검법 힘 실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이재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대표직 연임 도전이 초읽기에 접어들었다. 당 관계자는 23일 “추가 원 구성 협상이 결론 나면 이 대표가 대표직을 사퇴하고 8월 18일 전당대회 도전을 선언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내에선 ‘원 구성 속도전’ 등을 고려하면 이번 주 발표에 무게가 실린다.

최고위원 후보군으로는 김민석(4선)·전현희(3선)·강선우·민형배·한준호(이상 재선) 의원 등 친명계가 거론된다. 원외에서는 정봉주 전 의원과 김지호 부대변인 이름이 나온다. 당 안팎에선 ‘어대명’(어차피 당 대표는 이재명), ‘또대명’(또 당 대표는 이재명) 분위기가 굳어지는 것에 대해 우려가 나온다. 야권 관계자는 “반전도, 경쟁도 없는 전당대회에 어떤 중도층이 호응하겠나”라며 “이 대표와 친명 지도부를 추대하고 강성 지지층이 환호하는 그들만의 잔치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꼬집었다. 계파색이 옅은 민주당 의원은 “4월 총선 압승 후 줄곧 여론 주도권을 쥐었는데, 전당대회를 기점으로 (4파전을 벌이는) 여당에 주목도를 내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선 586 운동권의 맏형 격인 이인영(5선) 의원의 대표직 도전 가능성도 거론된다. 야권 인사는 “당에 20~30명이라도 친명 아닌 다른 세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이 의원을 설득하는 기류가 있다”고 전했다. 그렇더라도 “어대명 판세를 뒤집긴 역부족”(3선 의원)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 대표의 연임 도전은 자신의 사법리스크와 직결돼 있다. 이 대표는 대장동·백현동 개발 의혹 및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 공직선거법 위반, 위증교사 의혹으로 재판을 받고 있다. 여기에 최근 쌍방울 대북 송금 의혹과 관련해 제3자 뇌물 혐의로 기소되면서 ‘주4일 재판’이 현실화하고 있다. 친명계 의원은 “이 대표가 대표직을 계속 이어가야 향후 당이 검찰에 맞설 때 ‘당 대표를 지킨다’는 명분이 설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때마다 당이 대표의 리스크를 함께 짊어져야 하기에 오히려 당에는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친명계에서는 “이 대표를 중심으로 단일대오를 유지해야 특검법, 대정부 공세에 힘이 실린다”는 주장이 대세다. 이 대표와 가까운 한 당 인사는 “이 대표가 연임하더라도 향후 지방선거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고 물러나는 등의 행보를 보이면 재평가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조국당 “비상시 최고위원, 대표 승계”=조국혁신당은 23일 전당대회(7월20일)와 관련해 대표와 최고위원 2명을 선출하되, 대표 궐위 시에는 최고위원 중 다득표자가 대표의 잔여 임기를 승계하기로 당헌을 개정했다. 황현선 사무총장은 ‘어대조’(어차피 당 대표는 조국) 기류 속에 연임이 유력시되는 조국 대표 사법리스크 대비용 아니냐는 물음에 “그것도 대비하고 있다”며 “전당대회 주목 포인트는 수석 최고위원”이라고 말했다. 자녀 입시 비리 혐의 등으로 2심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은 조 대표는 대법원에서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되면 의원직을 잃는다.

황 사무총장은 조 대표가 “(셰익스피어 소설 속) 맥베스가 폭정을 저지르다가 효수됐다”며 윤석열 대통령을 저격한 것을 두고 “민주당에도 해당하는 얘기”라고 말했다. 조 대표는 한국갤럽 여론조사(5월 5주 차)를 언급하며 “우리 당 지지도(13%)는 민주당(29%)의 절반 아래지만, 호감도(36%)는 민주당(40%)에 근접했다”며 “호감도를 지지도로 빠르게 바꾸자”고 페이스북에 썼다.

손국희·김정재 기자 9key@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