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덴마크 리콜’ 불닭볶음면 반전…“먹어 보자” 되려 해외 관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덴마크 정부가 “너무 매워 건강을 해칠 수 있다”며 삼양식품 불닭볶음면 제품 3종을 리콜(회수)한 뒤 불닭볶음면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리콜 조치로 인해 오히려 홍보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는 셈이다.

23일 구글 검색 트렌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불닭’ 검색량은 이달에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세계일보

유튜브에 올라온 불닭볶음면 챌린지 영상. 외국인의 불닭볶음면 시식 영상은 출시 초기인 10여년 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유튜브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검색량은 지난해 10월의 2배이며 작년 3월의 4배 수준이다.

이달 중 구글 검색량이 최대였던 것은 덴마크의 리콜 발표 직후인 지난 12일이었다.

덴마크 정부는 지난 11일 삼양식품의 핵불닭볶음면 3×스파이시(Spicy), 핵불닭볶음면 2×스파이시, 불닭볶음탕면의 캡사이신 수치가 높아 급성 중독 위험이 있다면서 이들 3종을 현지 시장에서 회수하도록 했다.

일반 불닭볶음면의 매운 정도를 나타내는 스코빌지수는 4400 정도인데 2×핵불닭은 8800, 3×핵불닭은 1만2000이다.

2×핵불닭과 3×핵불닭은 한국에서는 판매되지 않고 해외로만 수출되는데 3× 핵불닭 수출 대상은 약 80개국이다.

덴마크의 리콜 조치 이후 BBC, AP통신, AFP통신 등 외신이 이를 앞다퉈 보도하면서 불닭은 화제의 중심에 섰다. BBC, 가디언, 호주 ABC방송 등 기자들이 불닭을 직접 시식하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워싱턴포스트도 지난 19일 불닭 리콜 사태를 계기로 불닭 인기를 조명한 기사에서 “덴마크 판매 금지 조치로 불닭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신문은 덴마크 리콜 사태로 불닭이 세계 곳곳에서 헤드라인을 장식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면서 틱톡에 불닭과 관련 키워드가 태그된 게시물이 3억6000만건에 이른다고 전했다.

삼양식품은 국내 공인기관과 함께 캡사이신양을 측정한 뒤 지난 19일 덴마크 정부에 반박 의견서를 내고 “제품 전체 중량이 아닌 액상 수프 중량만으로 캡사이신양을 계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